연구보고서

내용
2012년 5월 2일 북경에서 통상장관 회담을 갖고 한중 FTA의 본격적인 협상 시작
FTA 공식 협상에 돌입한 지 2년 6개월 만에 타결 2단계 협상 구조 채택
협상 문흔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규정 농식품 검역 등 22개 장 구성
2014년 11월 10일 북경에서 한중 정상 간 한중 FTA 협상이 실질 타결됨을 공식 선언
상품의 경우 중국은 품목 수 91 수입액 85에 대해서 한국은 품목 수 92 수입액 91에 대해 각각 20년 내에 관세를 철폐하기로 함
농산물의 경우 품목 수 70 수입액 40로 FTA 역대 최저수준으로 합의
우리나라는 미국 EU에 이어 중국과 FTA를 체결함으로서 칠레 페루에 이어 세계 3대 경제권 모두와 FTA를 체결한 세 번째 국가가 되었음
전국 기준 농림업 규모가 3위에 속하는 충남은 농도로서 농림 수산분야 파급영향 예상
중국은 우리나라 및 충남 제1의 교역국으로 한중 FTA가 충남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
충남은 경지면적 농림 수산물 생산액 기준으로 전국 3위에 속하는 전형적인 농도農道임
한중 FTA로 인해 충남의 주력 품목 군인 원예농 산물 품목 군 중심으로 피해가 예상
특히 농수산물 가공품목TRQ 허용에 대한 우회적인 수입량이 점차 가시화 증가 예상
파급영향에 따른 충남 농어업의 미래예측 대응방향 및 세부 전략 도출 필요
농수산업은 그간 여러 차례의 FTA 등 수입개방 파고를 거치면서 직간접적 피해 누적 심각
한중 FTA 체결에 따른 경영 불안정성 미래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심리적 위축 요인 작용 중
농가인구 감소와 노령화 추세에 따라 충남의 원예농 산물 생산구조 변화에 큰 영향 예상
한중 FTA에 따른 충남의 15개 시군별 주력 품목에 대한 향후 대응 방안과 전략 도출 필요
2 연구의 목적
한중 FTA에 따른 충남의 농림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계측
한중 FTA에 따른 충남의 주요 피해 품목에 대한 정밀진단
한중 FTA에 따른 충남의 농림 수산업 분야 대응 방안 수립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6
3 연구의 추진체계 10
4 연구의 방법 및 추진경과 12
5 연구의 한계 13
제2부 중국 및 충남의 농림수산업 현황
제1장 중국의 농림수산업 현황
1 정책동향 19
2 교역동향 26
3 생산동향 29
제2장 한국의 농림수산업 현황
1 정책동향 35
2 교역동향 36
3 생산동향 41
제3장 충남의 농림수산업 현황
1 정책동향 45
2 교류협력 현황 48
3 교역동향 53
4 생산동향 54
제3부 한중FTA 체결과 영향분석
제1장 한중FTA 협상결과
1 추진경과 61
2 협상내용 61
3 국내 보완대책 66
제2장 부문별 영향분석
제1절 시나리오 77
제2절 한중FTA에 따른 농림어업 피해액 78
1 농업 부문 78
2 임업 부문 80
3 어업 부문 81
제3절 대중국 수입증가로 인한 농업부문 피해액 83
제4절 농림어업 위험가구 붕괴 시 피해액 84
1 충남의 농림업 위험가구 84
2 충남의 어업 위험가구 85
제5절 총괄 86
제3장 분석대상 품목 도출
1 프로세스 91
2 분석대상 품목 도출 93
제4장 요약
1 한중 FTA로 인한 연평균 피해액 107
2 대중국 수입증가로 인한 농업부문 피해액 108
3 위험가구한계가구 붕괴 시 피해액 109
제4부 충남의 농수산물 주요품목 종합분석
제1장 분석개요
1 분석방법 115
2 분석품목 확인 및 분석자료 122
제2장 주요품목 종합분석
제1절 농산물 127
1 중국의 정책이슈 분석 127
2 기초현황 분석 130
3 지역특화 분석 131
4 생산구조 분석 135
5 비용비교 분석 136
6 교역구조 분석 137
7 경쟁력 분석 138
8 설문조사 분석 139
제2절 임산물 145
1 중국의 정책이슈 분석 145
2 기초현황 분석 147
3 지역특화 분석 148
4 교역구조 분석 150
5 설문조사 분석 151
제3절 수산물 156
1 중국의 정책이슈 분석 156
2 기초현황 분석 158
3 지역특화 분석 159
4 생산구조 분석 163
5 교역구조 분석 164
6 경쟁력 분석 165
7 설문조사 분석 166
제3장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및 시사점 175
제5부 충남의 기본구상과 대응방안
제1장 기본구상
제1절 핵심이슈 및 키워드 183
1 문제인식 183
2 핵심이슈 194
3 키워드 도출 196
제2절 비전 및 전략 197
1 기본원칙 197
2 비전 및 목표 198
3 추진전략 201
4 부문별 핵심사업 202
5 본 대책의 정책비교 204
6 10대 핵심전략 개요 207
제2장 충남의 대응방안
제1절 농촌생활소득의 보전 231
소득 및 권익증진 부문 232
1 공익적기능을 강조한 농업직불제 강화 232
2 농촌사회안전망 강화 242
3 농어민권익보호 및 증진 248
4 소비자에게 알권리를 보장해 주는 제도개선을 위한 중앙정부 제안과제 252
제2절 충남 농어업의 지속성 강화 262
농림수산업 부문 265
1 지속가능한 농림업을 위한 생산유통기반 조성 265
2 명품수산물 육성 및 연안어업어촌의 지속성 확보 281
지역 및 교류협력 부문 291
1 지역브랜드 강화 291
2 충남 농촌문화 확산 및 교류협력 강화 297
수출 부문 307
1 농수산식품의 대중국 수출대응 및 충남 식문화 전파 307
지역경제 부문 314
1 농어업 구조개선 및 순환경제시스템 구축 314
제3장 권역별 추진전략
제1절 기본방향 323
1 권역별 방향 및 전략 323
2 기존 상위계획과의 비교 324
제6부 시군별 대응방안
제1절 소비교류 거점권역 327
1 천안 328
2 아산 331
3 당진 335
제2절 융복합 거점권역 341
1 태안 343
2 서산 350
3 보령 355
4 서천 361
제3절 지역성 지속권역 367
1 공주 369
2 계룡 373
3 홍성 377
4 예산 383
5 청양 388
6 금산 392
7 논산 395
8 부여 398
제7부 소요예산
제1절 소요예산 403
1 연도별 소요예산 403
2 재원별 소요예산 406
3 연도별 재원별 소요예산 409
제2절 재원마련 방안 411
1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농정분야 예산 현황 411
2 자유무역협정이행기금FTA기금의 수산발전기금의 활용 416
3 농어촌 상생협력기금의 활용 419
부록
부록1 한중FTA 농산물 양허협상 결과 423
부록2 회의록 427
1 착수보고회 427
2 시군별 순회간담회 431
3 대응추진단 회의 및 분야별 워크샵 436
31 농림업분야 워크샵 436
32 수산분야 워크샵 439
4 중간보고회 443
5 전문가 워크샵 447
6 분야별 농림어업인과 현장간담회 453
61 현장간담회 농업분야 453
62 현장간담회 어업분야 455
63 현장간담회 임업분야 457
7 최종보고회 460
부록3 설문조사 464
참고문헌 478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김정하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충남형 농어촌서비스 기준에 따른 실태조사 2014. 10. 23
2013년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마을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 두마면 농소1리, 엄사면 엄사2리, 엄사면 유동2리 - 2013. 04. 11
2014년 계룡시 농촌마을 역량강화 사업 용역 2014. 06. 16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 2012. 09. 14
-
김양중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창업과 도전을 보장하는 기업생태계(김양중) 2015. 04. 24
충남 지역인재 육성방안 워크숍-지역경제를 이끄는 맞춤형 인적자본투자 정책방향 모색(김양중) 2015. 05. 08
충청남도 투자통상분야의 장?단기 비전과 정책방향 (김양중,김익성,오수용,박종찬) 2009. 12. 29
사회적경제연구회 제10회 워크숍 '충남사회적경제 생태계분석' (김양중,이은애,임준홍) 2011. 09. 22
충남 서비스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99) (배동수,김양중,김국진) 2017. 09. 07
-
여민수
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2014. 07. 22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위한 효과적 재원확보방안 연구용역 2013. 10. 24
충청남도 3농혁신 2030발전계획 연구용역 2014. 03. 11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실태 및 성공전략 2014. 01. 01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