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지원 자료집
정책지원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지원 자료집

기간
2016. 01. 01 ~ 2016. 12. 30
연구책임자
오병찬
연구자
권영현,방재성,박혜은,김성희
키워드
공공디자인,충청남도,디자인,센터,공공시설,경관,컨설팅,주민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지원 자료집_김성희_20170119_2016 컨설팅 지원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공공디자인센터는 2014년 설립된 이후 공공디자인 정책 연구 컨설팅 교육 기준 제시 등을 통해 충남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디자인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도시경관 공공건축 공공시설물 매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도내 시군과 협력해 사업의 전 과정에 걸쳐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센터는 공공디자인 사전사후 진단 시스템을 운영하며 초기 구상부터 준공 및 유지관리까지 체계적인 사업관리 체계를 구축해왔다 이를 통해 사업의 완성도 향상뿐만 아니라 예산 낭비를 줄이고 주민 만족도 향상에 기여해왔다
디자인 기준 및 매뉴얼 제정 도정 공모사업 및 국비 공모사업 자문 시군 담당자 교육과 워크숍 개최 등도 병행하며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학교 디자인 컨설팅 등 생활 밀착형 사업을 통해 도민 체감도를 높이고 있다
사업 성과로는 다양한 시군별 사례에서 확인되듯 실질적인 공간 개선과 지역 정체성 회복이 이뤄졌으며 디자인 적용 사례는 공공건축물 간판 매체 디자인 도시색채계획 등으로 확산되었다 수백 건의 컨설팅 실적이 축적되며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그러나 여전히 각 시군 간 역량 차이 사업계획 미흡 디자인 개념 이해 부족 등의 한계가 존재하며 전담 조직 및 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도내 전반적인 디자인 인프라 확충과 제도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향후 과제로는 컨설팅 프로세스의 고도화 도민참여형 디자인 발굴 민간전문가 네트워크 확대 지자체 디자인 행정체계 정비 등이 제시되며 공공디자인을 통한 충남의 균형 발전과 품격 있는 생활환경 조성이 목표로 설정된다

목차

1 공공디자인 컨설팅 개요
2 공공디자인 사업 및 지원현황
3 공공디자인 관련 정책 및 기준
4 공공디자인 사업 진행 단계
5 공공디자인 사업의 예시
6 공공디자인 신청 방법
7 공공디자인 사업 평가 및 진단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