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당산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 주변 습지생물 기본조사
현안

당산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 주변 습지생물 기본조사

기간
2015. 06. 22 ~ 2015. 09. 30
연구책임자
정옥식
연구자
장하라
키워드
멸종위기종,가시연꽃,습지생물,당산저수지,생태계,귀화식물,생물다양성,서식지관리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당산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 주변 습지생물 기본조사_정옥식_20160112_현안과제) 당산지 습지생물 조사 보고서(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당산저수지는 충남 당진시 송악면에 위치한 수공간으로 인근에 농경지가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수조류 및 양서파충류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본 조사는 저수지와 그 주변 제방 농경지 등을 포함하여 식물상 어류 조류 기타 생물 등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서식지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지역 내에는 총 124분류군의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멸종위기종인 가시연과 귀화식물 23분류군도 포함되어 있어 생태적 가치와 동시에 관리의 필요성이 공존한다
어류상 조사에서는 4과 8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인 배스와 블루길이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이는 생태계 교란의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조류는 여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조사된 결과 총 15종이 확인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나타나지 않았다 주로 쇠물닭과 흰뺨검둥오리 등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고 계절에 따라 종 구성과 개체 수에 차이가 있었다
기타 생물상 조사에서는 포유류로 삵 고라니 너구리 등이 확인되었으며 양서파충류는 참개구리 청개구리 유혈목이가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종으로는 삵과 가시연이 확인되었고 금개구리의 존재 가능성도 제기되어 향후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특히 가시연은 마름과의 생육경쟁으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어 조절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식지 관리 문제점으로는 조류 및 양서류의 휴식공간 부족 탐방로의 시각적 방해 농경지로부터의 오염 유입 가능성 등이 지적되었다 특히 수면 위를 뒤덮은 마름은 수질 악화와 악취의 원인이 되며 가시연의 생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마름 제거와 서식 공간 확보가 병행되어야 한다
관리 방안으로는 인공섬을 통한 휴식 및 번식 공간 조성 탐방로 은폐 식재를 통한 시각 차단 핵심 서식지 주변 보호 가시연 보호를 위한 식생 조절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농경지의 관리 강화를 통해 비점오염원 유입을 최소화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농지 매입 또는 임대를 통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당산저수지는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공간이며 효율적인 보호와 관리를 위해 휴식공간 확보 외래종 관리 식생 조절 탐방객 동선 통제 등의 종합적 조치가 요구된다 이는 서식지 보전뿐 아니라 생태관광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목차

Ⅰ 대상지 개요 및 특성
1 대상지 개요
2 대상지 특성
Ⅱ 식물상 및 식생 조사
1 조사 방법
2 식물상 및 식생 현황
Ⅲ 어류상 조사
1 조사 방법
2 어류 서식 현황
Ⅳ 조류상 조사
1 조사 방법
2 조류 서식 현황
Ⅴ 기타 조사
1 조사 방법
2 기타 종 서식 현황
Ⅵ 서식지 관리 방안
1 서식지 문제점
2 서식지 관리 방안
Ⅶ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