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광장은 단순한 공공공간을 넘어 지역 정체성과 결합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국의 상업활동촉진지구BID와 일본의 상점가진흥조합 사례처럼 민관 협력 기반의 운영방식은 내포시민광장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상업지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업체 부담금을 기반으로 한 운영 구조는 자생력 있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내포지역의 문화자산인 보부상놀이 민속놀이 판소리 등은 광장의 상설 공연 콘텐츠로 활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지역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이 가능하다 광장을 중심으로 한 도시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지역민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높이는 한편 외부 방문객에게는 매력적인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광장의 활용방안은 계절별로 테마를 달리하는 이벤트 장터 공연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광장과 연계된 공원 대중교통 허브 상가와의 통합적 설계를 통해 유동 인구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젊은 세대와 가족 단위 방문객을 타깃으로 한 야간 조명 행사나 체험형 콘텐츠는 도시의 활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광장 조성과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은 이미 대부분 완료된 상태이므로 향후에는 민간과 지방정부가 협력하여 운영체계를 수립하고 콘텐츠 기획 홍보 마케팅 프로그램 운영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발적 참여 기반의 민관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광장의 지속적 운영과 시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포시민광장은 공간적문화적 가능성을 지닌 중심지로서 지역 정체성을 살린 특화광장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기반 콘텐츠 개발 민관 협력 운영체계 마련 지속 가능한 행사 유치 및 운영 전략이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Ⅱ 현황 및 실태 조사
1 내포신도시 개발계획 진행 현황
2 내포신도시 인구 현황
3 중심상업지역 내 특화광장 조성 현황
4 내포의 역사문화자원 현황
Ⅲ 이론적 고찰
1 공공영역으로서 광장
2 근린주구론
3 지방브랜드
4 도시 스토리텔링
5 상업활동촉진지구
Ⅳ 국내외 사례 분석
1 광장 유형
2 국내사례
3 해외사례
4 요약 및 시사점
Ⅴ 특화광장 활용 및 조성 방안
1 특화광장 조성의 기본방향
2 공간 및 시설 구성 방안
3 프로그램 구성 방안
4 운영조직 및 재원 확보 방안
5 단계별 추진방안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영화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충남 지방문화원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2014. 09. 01
충남 시군 지역문화진흥시행계획 수립 지원방안 연구 2015. 06. 15
의정토론회-'토정 이지함과 걸인청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이이화, 임선빈) 2015. 03. 10
충청남도 문화예술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용역 2013. 09. 30
-
이인배
서산시-충남발전연구원 대산항 연계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공동 토론회 (이인배) 2013. 04. 12
2014 지역문화관광 포럼 지역관광 활성화 방향(김영준,이인배) 2014. 12. 19
충남발전연구원-계룡시 세미나(이인배,김종인) 2014. 11. 28
대중국 교류를 위한 서해안 새로운 산업지대망 구축방안 (윤양수,박창호,김군수,이인배,박형창,조창완) 2002. 04. 03
충남 천주교성지의 교황방문과 대응방안 워크숍(장인식,이인배) 2014. 05. 08
열린충남50호 2010. 03. 01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