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행정 조직은 마을 관련 업무가 7개 과 10개 팀에 분산되어 있고 담당 공무원의 잦은 순환보직으로 인해 전문성과 지속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지역경제과 내 공동체경제TF팀을 신설해 총괄조정 기능을 집중시키고 마을사업과 사회적경제의 연계를 강화할 방안이 제시되었다
민간단체 현황은 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마을 리더 양성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대학 운영 위원장 협의체 구성 천안 마을넷과 같은 민간 네트워크 구축이 제안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민간이 중심이 되는 마을만들기 시스템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되었다
마을만들기 조례는 민관협력 기반의 기본조례 형태로 제정이 필요하며 중간지원조직 설치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상반기에 마을대학과 학습토론을 통한 조례안 마련과 행정 내부 조직개편과 연계된 접근이 요구되었다
중간지원조직은 공동체경제지원센터가칭로 명명되어 민간위탁 방식으로 설치하고 사무국장과 연구원 포함 총 4인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주요 역할은 마을대학 운영 청년활동가 양성 마을 기초조사 소식지 발간 협의체 운영 지원 등이며 행정의 실무집행과 주민 간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마을 위원장 협의회 마을 코디네이터 제도 마을자원 DB 구축 소액공모 지원사업 등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며 민간과 행정의 협력 기반을 바탕으로 주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체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목차
1 연구 배경 1 외부적 요인 충남도의 정책적 유도
2 연구 배경 2 내부적 요인 천안시의 특성 및 과제
3 주요 과업 개요
Ⅱ 마을만들기 행정 지원체계 분석과 효율화 방안
1 마을만들기 업무 개괄
2 마을만들기 행정조직 체계 및 개편 논의
3 평가와 모색 행정 지원 시스템 정비 방향
Ⅲ 마을만들기 민간단체 조사 및 네트워크 구축 방향
1 천안시 마을만들기 관련 민간조직 현황
2 평가와 대안 모색 마을만들기 민간 네트워크 구축 방향
Ⅳ 마을만들기 조례 제정과 중간지원조직 설립 및 운영방향
1 마을만들기 조례 제정 방향과 초안
2 중간지원조직 운영 사례와 기본 모델
3 천안시 중간지원조직 설치와 효율적 운영 방향
Ⅴ 종합 평가 및 제안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천안시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의 과제와 쟁점
2 2016년 사업 추진 방향 및 신규 사업 제안
3 연구용역 2년차 과제 제안
Ⅵ 참고문헌
Ⅶ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구자인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제7회 마지연 대화마당(청양) (구자인,장광석,권봉관) 2016. 09. 23
제3회 마지연 대화마당(논산) (구자인,임경수, 문요한, 안충호) 2016. 05. 20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제8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7-115)(윤흔상,구자인) 2017. 09. 01
제5회 마지연 대화마당(보령)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7. 22
-
박주석
제9회 마지연 대화마당(태안) (문종록, 김영희, 복권승, 박현) 2016. 11. 25
예산군 마을만들기 네트워크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설립 2015. 10. 08
제3회 마지연 대화마당(논산) (구자인,임경수, 문요한, 안충호) 2016. 05. 20
아산시 마을만들기 민간네트워크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 운영방안 (1차) 2015. 07. 09
제7회 마지연 대화마당(청양) (구자인,장광석,권봉관) 2016. 09. 23
-
황바람
제8회 마지연 대화마당(서천) (황바람, 최광진, 이환의) 2016. 10. 28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마을학회 일소공도 공동 토론회(CNI세미나2017-072) 2017. 06. 24
제2회 마지연 대화마당(아산) 2016. 04. 22
아산시 마을만들기 민간네트워크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 운영방안 (1차) 2015. 07. 09
서천군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설립 및 운영방안(2차년도) 2017. 03. 14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