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정책지원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기간
2016. 07. 01 ~ 2016. 07. 25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김동혁,표정기,권지수,양재원
키워드
대기오염물질,배출량,농도,측정망,기후변화,바람환경,미세먼지,오존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_이상신_20160725_충남 행복한1.5도-final.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에서 발간한 대기환경 관련 종합 자료로 도내 대기질 변화 추이 배출량 현황 기상 요소 분석 등을 통해 충남의 기후환경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서는 국내외 대기오염 이슈와 함께 충청남도의 대기환경 측정망 운영 현황 지역별 농도 변화 배출 특성 등을 정리하여 지역 기후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대기질 현황에서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도내 주요 시군의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오존 등 오염물질 평균 농도를 비교하고 타 광역지자체와의 상대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충남은 오존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농도는 전국 평균 수준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안과 아산 등 산업 밀집 지역에서 농도가 높은 경향이 보였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에서는 20042013년까지 전국 및 충남의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의 배출 총량 및 단위면적당 배출량 1인당 배출량을 제시하였다 충남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당진 보령 태안 지역은 발전소와 산업단지 밀집 영향으로 배출량이 두드러졌다
충청남도는 화력발전소 대규모 산업단지 등 고정배출원이 많아 황산화물과 초미세먼지 배출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공중보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지역별 배출 특성과 대기환경 변화 간의 연관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배출원 중심의 정책 설계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기상요소로는 계절별 기압 배치 지표 및 상층 바람 방향이 정리되어 있으며 겨울철 북서풍 여름철 남동풍 등의 대기 흐름이 대기오염 확산이나 집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오염물질의 체류 또는 확산 경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책 수립 시 기후 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보고서는 충남 지역의 대기질 개선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역별 실태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대기환경정책 수립 고정오염원 저감 대책 실시간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체계 구축 지역 간 협력 네트워크 확대 등을 제안한다 이는 지역 주도의 과학적 기후환경 대응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발간사
도내측정망
대기오염물질 특성
우리나라 대기오염물질 변화추이
광역지자체별 대기오염물질 평균농도
충청남도 대기오염물질 평균농도
우리나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추이
광역지자체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충청남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계절별 기압배치
계절별 지표바람
계절별 상층바람
Ⅰ 대기질 현황
Ⅱ 배출량 현황
Ⅲ 바람 환경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