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한국은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므로 노인의 여가복지지설은 지역사회의 필수적인 시설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읍면동 이하 마을 단위에 노인을 위한 경로당이 양적으로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나 관리운영의 미흡으로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음 충남은 읍면동 평균 26개 정도의 경로당의 설치되어 있어 양적인 측면에서는 성과가 있었음 다만 대부분의 경로당이 천편일률적으로 마을 사랑방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의 특성과 지역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않아 노인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
기존 충남의 경로당이 노인들의 문화여가시설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첫째 산재해 있는 경로당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거점 경로당을 지정하여야 함
둘째 경로당을 활용한 복지자원의 효율적 연계를 통해 부족한 노인복지 인프라를 확충하여야 함
셋째 지역별인구특성별로 경로당을 특성화하여야 함
넷째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찾아가는 마을사랑방으로 변모시켜야 함
다섯째 도농간 유대를 강화하여 사회적 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함
여섯째 경로당 DB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충남 내 경로당을 유지관리하여야 함
이후 생략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읍면동 이하 마을 단위에 노인을 위한 경로당이 양적으로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나 관리운영의 미흡으로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음 충남은 읍면동 평균 26개 정도의 경로당의 설치되어 있어 양적인 측면에서는 성과가 있었음 다만 대부분의 경로당이 천편일률적으로 마을 사랑방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의 특성과 지역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않아 노인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
기존 충남의 경로당이 노인들의 문화여가시설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첫째 산재해 있는 경로당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거점 경로당을 지정하여야 함
둘째 경로당을 활용한 복지자원의 효율적 연계를 통해 부족한 노인복지 인프라를 확충하여야 함
셋째 지역별인구특성별로 경로당을 특성화하여야 함
넷째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찾아가는 마을사랑방으로 변모시켜야 함
다섯째 도농간 유대를 강화하여 사회적 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함
여섯째 경로당 DB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충남 내 경로당을 유지관리하여야 함
이후 생략
목차
1 노인복지를 위한 경로당
2 충남 경로당의 현황
3 충남 경로당의 문제점
4 충남형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2 충남 경로당의 현황
3 충남 경로당의 문제점
4 충남형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필두
정책담론, 지방분권분야 전략과제 제2차 워크숍 (안성호,김순은,권선필,김필두,길병옥,최영출,이상영,권혁술) 2013. 12. 02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발전연구원 민교협 공동토론회 (신승환,이도흠,김필두,고승희) 2013. 06. 28
전북·충남 공동발전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송두범,김보국,김진석,나상균,성기만,이동기,이창현) 2004. 08. 31
제2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외국의 사회적경제 추진동향' (김성오,장종익,오귀복,오은주) 2012. 04. 16
-
윤준희
농산어촌 유토피아 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시범계획 수립 2019. 09. 30
충남형 주민자치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2013. 02. 01
충남리포트-234호-충남 농어촌지역개발사업, 사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2016. 08. 11
충남발전연구원「지방분권연구회」제3차 워크숍 '지방분권정책 추진 성과와 과제 실증연구' (김성호,최용환,최진하,소진광,곽현근,배준구,이종수) 2011. 10. 19
충남리포트-239호-시민운동으로서 제2새마을운동 추진방향 2016. 0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