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남의 농가경제는 전국 농가소득 구조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득 차이는 없으며 전국과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 농외소득은 경기 제주에 비해 낮았고 농업소득은 평균보다 다소 낮지만 큰 차이는 없다
조사대상 농가의 절반 가까이는 전업농가이며 충남은 논벼 재배 비중이 높은 편이고 주업농가 중 일반농가의 비율이 높다 경영주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대부분이고 남성 중심의 농업 구조가 특징이다
충남 농가의 평균 자산은 전국 중상위 수준이며 가계지출과 부채도 전국 평균보다 다소 낮다 이로 인해 가계수지는 타 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업수입의 주요 구성은 미곡 채소 과실 등이며 충남은 특히 논벼 채소 중심 영농구조를 가진다 축산물 수입은 경기보다 낮고 전반적으로 생산구조 다변화가 필요하다
정책 제언으로는 논벼 중심 구조에서 채소특작과실 중심 전환이 필요하고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및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이 제시된다
농가소득 결정요인으로는 대동물 농외임금 축산물 공적보조금 채소 등이 큰 영향을 미치며 농가부채는 부정적 요인이다 이를 반영한 소득 향상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조사대상 농가의 절반 가까이는 전업농가이며 충남은 논벼 재배 비중이 높은 편이고 주업농가 중 일반농가의 비율이 높다 경영주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대부분이고 남성 중심의 농업 구조가 특징이다
충남 농가의 평균 자산은 전국 중상위 수준이며 가계지출과 부채도 전국 평균보다 다소 낮다 이로 인해 가계수지는 타 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업수입의 주요 구성은 미곡 채소 과실 등이며 충남은 특히 논벼 채소 중심 영농구조를 가진다 축산물 수입은 경기보다 낮고 전반적으로 생산구조 다변화가 필요하다
정책 제언으로는 논벼 중심 구조에서 채소특작과실 중심 전환이 필요하고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및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이 제시된다
농가소득 결정요인으로는 대동물 농외임금 축산물 공적보조금 채소 등이 큰 영향을 미치며 농가부채는 부정적 요인이다 이를 반영한 소득 향상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목차
I 서론
II 조사농가의 일반특성
1 농가유형
2 주부업농가
3 영농형태
4 경지규모
5 경영주의 연령
6 경영주의 성별
III 농가소득과 결정요인분석
1 농가수지
2 농가소득
3 농업소득
4 농외소득
5 이전소득
6 농가소득 결정요인분석
IV 요약 및 정책방안
II 조사농가의 일반특성
1 농가유형
2 주부업농가
3 영농형태
4 경지규모
5 경영주의 연령
6 경영주의 성별
III 농가소득과 결정요인분석
1 농가수지
2 농가소득
3 농업소득
4 농외소득
5 이전소득
6 농가소득 결정요인분석
IV 요약 및 정책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