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농업인 기준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검토
- 기간
- 2023. 04. 10 ~ 2023. 08. 31
- 연구책임자
- 강마야
- 연구자
- 이도경
- 키워드
- 농업인 기준,농지면적,공익직불금,정책과제,농업경영체,인식조사,해외사례,농촌사회 영향
- 다운로드
-
230913_현안과제(농업인 기준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검토)_최종보고서_강마야.이도경.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31201_현안과제(농업인 기준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검토)_최종보고서_강마야.이도경(최종수정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31214_(농특위 발표자료)농업인 기준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검토_강마야 외_추가수정(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충청남도 농업경영체 분석 결과 전체 경영주 중 6080대가 80 이상을 차지하며 1000평 미만 경영체는 전체의 33이나 경작면적은 47에 불과했다 공익직불금 지원에서도 3000평 미만 농가가 수혜자의 70 이상을 차지했으나 지원금과 면적은 전체의 약 2527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고령 소농 중심의 농업구조와 직불제의 구조적 문제를 시사한다
인식조사에서는 농업인 기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며 농업소득 등을 고려한 정량적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농업인 기준을 강화할 경우 농지 거래 활성화 투기 방지 등의 긍정적 효과와 함께 농촌경제 위축 농산물 가격 하락 등 부정적 영향도 우려되었다
해외사례 검토 결과 일본 대만 미국 유럽연합 등은 농업노동시간 농업소득 생산자 자격 등 다양한 정량적 요건을 통해 적극적 농업인을 정의하고 있으며 단순 면적 기준보다는 실질적 농업활동을 중심으로 정책 대상을 구분하고 있었다
정책 과제로는 단기적으로 농업인 실태조사 및 관련 DB 구축 진짜 농업인 기준 정립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법령 및 조례 개정 농업소득 기준 도입 보조사업 대상의 체계화가 요구된다 민주적 절차를 기반으로 한 협치 체계를 통해 기준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목차
2 선행연구 및 해외사례
3 농업인 기준에 대한 현황분석
4 농업인 기준에 대한 인식조사
5 농업인 기준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6 농업인 기준에 대한 정책과제
부록 1 농업인 기준 관련 전문가 및 농민 대상 델파이조사
부록 2 충남 및 시군 농어업회의소 회원 대상 설문조사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이도경
충남 청년농업인 유입과 정착을 위한 추진전략 연구 2022. 08. 22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19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5차 축산환경정책포럼(CNI세미나2019-084) 2019. 09. 17
충남 농정거버넌스 체계 실태 사례연구 2020. 04. 01
충남 마을농지 소유․이용 실태 및 정책방향 연구 2019. 04. 01
충남 농정대상자인 농업인과 농민의 개념 및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2020.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