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여건변화에 대응한 서천읍 공간구조 설정 기초 연구
현안

여건변화에 대응한 서천읍 공간구조 설정 기초 연구

기간
2017. 02. 08 ~ 2017. 03. 31
연구책임자
한상욱
키워드
서천군청사 이전,공간구조 개편,서천읍 거점,인구 감소,상권 쇠퇴,생활권 네트워크,복합 공공시설,도시재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여건변화에 대응한 서천읍 공간구조 설정 기초 연구_한상욱_20170424_17-0424-성과품-여건변화에 대응한 서천읍 공간구조 설정 방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서천군청사 이전에 따른 서천읍의 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천군청이 구 서천역 부지로 이전함에 따라 읍내 주요 기능이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파급효과를 고려한 공간구조 재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서천읍은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심화되고 있어 압축적 도시구조와 기능의 복합화 생활권 간 네트워크화 등 지속가능한 정주환경 구축이 요구된다
서천읍은 중심지 기능의 5238를 담당하며 기존의 정주생활권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상권은 쇠퇴 추세이며 상업기능의 저하와 저성장 흐름 속에서 기능의 다양화와 특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군청사 이전은 단순한 공공청사의 이동을 넘어서 도시 활성화를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하며 역사문화적 가치와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상징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전 청사 부지는 문화재 보호구역에 속해 있으며 활용에는 제약이 있으나 문화교육의료시설 등 복합기능 도입을 통해 주민 수요에 부합하는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서천읍 남측의 기능이 미약한 지역에는 생활체육시설과 관광 관련 기능을 배치하여 남북 방향의 상징축을 형성하고 도심의 균형 발전을 유도해야 한다 보행 중심의 가로환경 조성 및 교통거점 개선도 병행되어야 한다
서천읍 전체는 도심부와 신청사 일원으로 기능 분산이 예상되며 이를 연결하는 도심축과 공공공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시외버스터미널의 이전 및 종합터미널화 자전거도로망 구축 주차공간 확보 등 교통체계의 개편을 통해 도심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된다 이와 함께 주거지역의 노후도 해소와 업무시설 재배치를 통해 도심 기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계획과제로는 구 군청사 부지를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고 생활밀착형 문화복지시설을 도입하여 정체성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시설 유형은 생활문화센터 도서관 체육관 카페 등이며 공공성과 자율성이 조화를 이루는 복합공간으로 기획된다 이를 통해 도심의 상징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서천군청사 이전을 계기로 서천읍의 공간구조를 재편하고 정주환경 개선 및 상권 활성화를 통한 지역 재생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기능의 복합화 공간 간 네트워크 강화 주민 수요 중심의 시설 재배치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지역발전 전략을 실현하려는 것이 핵심이다

목차

I 서천읍 현황 및 여건
II 서천군청사 이전에 따른 고려요인
III 서천읍 거점별 특화 방향
IV 주요 거점별 계획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