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연구는 충청남도의 소방 데이터를 공간 정보화하여 화재 및 구급사고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방력 재조정 정책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 소방계획은 행정구역 중심으로 설정되어 사고 발생의 실제 공간 분포와 차이가 존재하며 복잡한 사회구조와의 인과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지오코딩을 통해 화재 및 구급사고 데이터를 정밀화하고 GIS 기반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충남에서는 총 17357건의 화재사고와 481908건의 구급사고가 발생했다 화재사고는 봄철과 오후 2시에 집중되었으며 천안시와 아산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구급사고는 여름철과 오전 9시에 가장 많았고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등 인구밀집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 특히 구급사고는 연도별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대응 역량의 확충이 필요하다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주소 오류 누락된 시간 정보 비정상 신고 등 정제 이슈가 발견되었고 이로 인해 일부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연구진은 정좌표 인근좌표 법정동좌표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였으며 각 사고의 실제 관할 소방서 및 안전센터를 재정의하여 분석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실시간 대응력 강화와 효율적인 소방 인력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외 사례 분석에서는 GIS 분석을 통해 소방서비스의 효율성을 개선한 사례들이 제시되었다 대전 진주 대구 부산 등의 지역에서는 공간 분석을 통해 구급대의 이동시간 단축 안전센터 입지 재조정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선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충남 역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 소방정책 수립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정책 제안으로는 첫째 소방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통해 공공데이터와 소방자료의 연계를 강화하고 입체적 정보 생산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력 재배치 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량적 자료 기반의 정책 수립이 핵심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소방자료의 공간정보화를 통해 실질적 소방정책 개선을 도모하며 제10차 소방력 보강 5개년 계획의 과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충청남도의 재난 대응 역량 향상과 주민 안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충남에서는 총 17357건의 화재사고와 481908건의 구급사고가 발생했다 화재사고는 봄철과 오후 2시에 집중되었으며 천안시와 아산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구급사고는 여름철과 오전 9시에 가장 많았고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등 인구밀집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 특히 구급사고는 연도별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대응 역량의 확충이 필요하다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주소 오류 누락된 시간 정보 비정상 신고 등 정제 이슈가 발견되었고 이로 인해 일부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연구진은 정좌표 인근좌표 법정동좌표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였으며 각 사고의 실제 관할 소방서 및 안전센터를 재정의하여 분석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실시간 대응력 강화와 효율적인 소방 인력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외 사례 분석에서는 GIS 분석을 통해 소방서비스의 효율성을 개선한 사례들이 제시되었다 대전 진주 대구 부산 등의 지역에서는 공간 분석을 통해 구급대의 이동시간 단축 안전센터 입지 재조정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선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충남 역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 소방정책 수립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정책 제안으로는 첫째 소방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통해 공공데이터와 소방자료의 연계를 강화하고 입체적 정보 생산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력 재배치 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량적 자료 기반의 정책 수립이 핵심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소방자료의 공간정보화를 통해 실질적 소방정책 개선을 도모하며 제10차 소방력 보강 5개년 계획의 과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충청남도의 재난 대응 역량 향상과 주민 안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연구배경 및 필요성
II 연구목적 및 범위
III 소방자료 공간DB 구축
IV 화재 구급사고의 기초통계
V 정책제안
II 연구목적 및 범위
III 소방자료 공간DB 구축
IV 화재 구급사고의 기초통계
V 정책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박정환
제2차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한 공공정책 발굴 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7-054) (박정환,최진영) 2017. 06. 01
(충남정책지도 제22호) 소상공인 상가업소 수 현황과 변화 2018. 04. 09
서천군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연구 2012. 07. 06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충남 민원 빅데이터 분석과 정책적 방안 제시 2017. 08. 30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입지환경 분석과 정책제언 2017.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