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개선 및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해양자원(해조류) 활용방안 구상
- 기간
- 2017. 06. 20 ~ 2017. 08. 30
- 연구책임자
- 신우석
- 연구자
- 윤종주,윤영관
- 키워드
- 뜸부기,해조류,자연복원,양식기술,어업인 소득,충남 연안,고부가가치,해양환경 개선
- 다운로드
-
[최종보고서]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개선 및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해양자원(해조류) 활용방안 구상_신우석_20171024_[최종보고서]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개선 및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해양자원(해조류) 활용방안 구상_신우석_20170907_해조류 뜸부기_신우석_.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자연복원 방법으로는 밧줄 고정법과 암반 고정법이 있으며 이 중 밧줄 고정법은 생존율과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밧줄 고정법은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강한 조류에는 취약할 수 있다 암반 고정법은 내구성은 있으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종묘 생산은 복원과 양식의 기반으로 종묘 배양장 설립과 관련 기초연구가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양식방식으로는 김 양식에서 활용되는 지주식 부류식 반부동식 외에 거꾸로 양식법과 밧줄식 양식법이 있다 뜸부기의 생장 특성과 조간대 서식 특성을 고려할 때 밧줄식과 지주식이 적합하며 거꾸로 양식법은 소형 해조류에 적합하지만 경제성과 기술적 한계가 있다 특히 뜸부기는 여름철에 수확이 가능해 겨울철 위주의 김 양식과 보완 관계를 이루어 어업인의 연중 소득원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는 뜸부기 종복원 및 양식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며 제주도의 참모자반 시범사업처럼 지자체와 어촌계가 협력해 자율적 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가공 특산품 개발 및 충남만의 전통 음식 브랜드화를 통해 6차 산업으로 확장하고 관광자원과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도 가능하다 이는 어촌마을의 소득 증대와 지역 상징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 충남에서는 뜸부기가 일부 도서지역에만 소량 서식하고 있으며 태안의 삽시도 고대도 외연도 등이 복원에 적합한 장소로 제시된다 엽장의 성장 시기는 수온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며 조간대 암반지대에서 성장이 활발하다 따라서 지역별 서식 환경에 적합한 복원 전략이 필요하며 이는 해양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뜸부기는 생태적 가치와 고부가가치를 갖춘 해조류로서 충청남도의 해양환경 보전과 어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자원이 될 수 있다 종묘 생산 복원기술 개발 제도적 뒷받침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뜸부기를 미래 해양정책의 핵심 축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체계
II 해조류 뜸부기 서식현황 및 분포
1 해조류 뜸부기의 생활사 및 서식환경
2 해조류 뜸부기 서식분포
III 해조류 뜸부기 자연복원 방안
1 해조류 뜸부기 자연복원 방법들
2 자연복원 방법들의 장단점 비교
IV 해조류 뜸부기 양식 방안
1 지주식 양식 방법
2 부류식 양식 방법
3 반 부동식 양식 방법
4 육상 양식 방법
5 밧줄식 양식 방법
V 정책제언
1 뜸부기 개체수 증대 방안 마련
2 뜸부기 수산자원 관리 방안
3 뜸부기 활용 가공 특산품 개발
4 충남도 대표 음식 브랜드화
VI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영관
(충남정책지도 제18호)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10년 동안의 충청남도 해안환경 변화 2017. 12. 07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6. 10
충청남도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 모델 개발 2016. 10. 17
2019년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행사 운영 2019. 07. 08
2020년 하계 금강하구(서천해역) 재해성 해양부유쓰레기 발생특성 및 정책대응 방안 2020. 08. 26
깨끗한 충청남도 연안환경 관리 방안 연구 2015. 10. 01
-
신우석
충청남도 블루카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CNI세미나2017-164)(신우석,류종성,정익교,안지환) 2017. 12. 07
충청남도 수산부산물의 재활용 및 사업화 모색(CNI세미나2018-031) 2018. 04. 16
부남호 하구내측 염수유입에 따른 육상생태계 영향 평가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CNI세미나2019-081) 2019. 09. 02
오염물질 배출시설 주변지역 과거 환경영향 기록복원 기초연구 2019. 06. 01
충남 온실가스 감축역량 강화를 위한 해양연안 부문 적용확대 방안 2020. 04. 21
충청남도 수산부산물 재활용 추진연구 2018. 01. 17
-
윤종주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제5차 충남해양수산포럼(CNI 세미나 2017-137) (윤종주, 유재영, 김대영) 2017. 10. 31
서해안 해양환경현안 공동대응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관계기관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7-088)(윤종주, 김성수,이경미,최만식) 2017. 07. 07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2016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16. 0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