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중국산 수입차는 주로 완성차 위주로 수입되고 있으며 평택항과 부산항이 주요 입항지이다 그러나 차량물류센터 및 부품물류센터는 지정수입업체 위탁운영 방식이 많아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다 국내에서의 수입차 유통은 BMW 사례처럼 항만 차량물류센터 부품물류센터의 유기적 연계가 중요하며 이는 충남이 수입차 산업을 유치하기 위한 핵심 조건으로 작용한다 차량 전시 및 판매 기능의 공간 집중화도 수입차 산업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수입차 산업의 지역경제 효과는 평택항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 수입차 입항으로 인한 고용 토지수요 세수 증가 등이 발생하며 특히 차량물류서비스 중심의 일자리가 증가하고 대규모 부지가 필요한 야적장 수요도 커진다 다만 직접 고용효과는 제한적이며 부가적인 경제활동 유치를 통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지방세수 증대는 취등록세 중심으로 나타나며 자동차 등록지가 소유주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므로 세제 인센티브가 중요한 유인 요소가 된다
충남은 평택항과의 직접 경쟁보다는 틈새전략으로 상호보완적 기능을 모색해야 하며 대산항은 중국산 수입차 전용 항만으로 특화될 수 있다 자동차전용부두와 소규모 차량물류센터를 초기 단계에서 확보하고 향후 물동량 증가에 따라 점진적 확대가 바람직하다 부품 유통단지도 수입차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현지에서 글로벌 브랜드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이 국내 진출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충남은 수입차 산업의 가치사슬 상에서 항만 차량물류센터 부품물류센터 등 주요 집산 기능을 유치해야 하며 이들 시설은 상호 인접하여 입지해야 효과적이다 평택항처럼 인프라 집중화를 통해 산업 거점을 형성하면 중고차 수출 등 부수적 기능 확장도 가능해진다 향후 충남은 대산항과 당진항을 중심으로 수입차 관련 산업의 핵심 기반시설을 마련하고 맞춤형 산업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산 수입차의 성장은 충남에 새로운 산업기회를 제공하며 틈새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항만 기반과 배후단지 조성이 핵심 전략이 된다 집산 기능 유치와 부품 유통 중심지로의 성장 가능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과 연계한 제도적 뒷받침 민간투자 유도 장기적 비전 수립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충남은 서해안권의 수입차 산업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Ⅱ 중국산 수입차 동향과 전망
Ⅲ 수입차 산업의 가치사슬 분석
Ⅳ 수입차 산업의 지역 파급효과 평택항 사례를 중심으로
Ⅴ 충남의 대응 전략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
-
비웨이닝
충남리포트-(제283호) 중국 랴오닝성.장쑤성 정책 동향과 충남 연계 방안 2017. 11. 29
충남도 대중국 교류지역연구(II)- 중국 랴오닝성과 장쑤성 현황과 주요 정책동향 2016. 04. 01
제17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01) (고정식) 2017. 01. 18
제18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08) (구자억) 2017. 02. 22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
강수현
상암동 연료전지 발전설비 견학 및 관계자 워크숍 2015. 07. 24
온라인쇼핑거래 확대가 충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23. 08. 14
2021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2. 02. 2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중국인 입국관광객 충남 유치전략 2014. 10. 06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선택형직불 확대방안 2020.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