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추진결과 만족도 조사결과 분석
현안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추진결과 만족도 조사결과 분석

기간
2017. 10. 25 ~ 2018. 01. 31
연구책임자
박근오
키워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안전점검 만족도,초등학생 안전교육,안전문화 생활화,충청남도 시범사업,그린셔츠데이,가정 내 안전점검,생활안전 의식
다운로드

[현안과제]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하기 설문분석 결과(10~12월)(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에서 실시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시범사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가정 내 안전문화의 생활화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정책 수립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3개월간의 점검 결과 전체 평균 안전온도는 827도로 점차 상승하였으며 이는 안전의식 향상과 생활안전의 중요성 인식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과 보호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점검이 안전문화 생활화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학생들은 점검 후 안전수칙을 더 잘 지키게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보호자들도 교육적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안전점검에 대한 지속적인 실시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린셔츠데이 운영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으나 일부는 의미를 잘 모르거나 부담을 느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는 보다 효과적인 홍보와 참여 유도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색상 디자인 사이즈 다양화 등도 제안되었다
정책 제안으로는 점검 결과에 대한 분석과 피드백을 통해 지속성과 효율성을 강화하고 점검 문항을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게 명확하게 개선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문항의 난해함이나 모호한 표현은 응답의 신뢰도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기존 행사와 연계한 이벤트 운영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특히 친구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안전의식을 생활화하고 습관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사업은 학생과 보호자의 참여를 통해 가정 내 안전의식을 높이고 지역사회 안전문화 확산의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며 지속적인 개선과 홍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정책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I 분석의 개요
1 분석 목적 및 주요 내용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II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 분석결과
1 분석결과 요약
2 분야별 안전온도 점검 분석결과
III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만족도 조사 분석
1 학생 대상의 만족도 분석 결과
2 보호자 대상의 만족도 분석 결과
IV 결론 및 제언
부록 1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표
부록 2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만족도 조사설문지
부록 3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만족도 분석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