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2016년도 공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수탁

2016년도 공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기간
2017. 02. 27 ~ 2017. 12. 31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박상현,조병욱
키워드
총량관리,금강수계,공주시,수질오염,단위유역,이행평가,오염원,배출부하량
다운로드

공주시 2016년 이행평가 요약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는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에 관한 법률과 환경부 이행평가기준에 따라 2016년 1년간의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실적을 평가하였다 대상 단위유역은 금본H 금본I 금본J 금본K 논산A이며 오염관리 대상물질은 총인TP이다
2016년 측정결과 모든 단위유역에서 평가수질은 목표수질을 만족하였다 금본HK 단위유역의 연평균 TP 농도는 00720083L 논산A는 0131L로 목표기준 이내였다 유량구간별 평가에서는 일부 구간에서 초과율이 다소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오염원 분석 결과 인구 감소와 물 사용량 감소로 생활계 부하는 전반적으로 줄었으나 일부 단위유역에서는 축산계 오염이 증가하였다 산업폐수 발생량은 금본I 유역에서 약 5300일 줄어드는 등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배출부하량은 금본H K 유역에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모두 감소하였고 금본I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증가했으나 전체 오염부하는 할당기준을 충족하였다 금본K 유역은 산업폐수가 증가했으나 하수처리장 성능 개선 등으로 총량은 관리 가능 수준이었다
개발사업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단위유역에서 2016년까지 준공된 사업의 배출부하량이 시행계획상 예측치보다 낮거나 유사하였고 공공처리시설 및 농공단지의 배출량도 할당 기준을 준수하였다 이로 인해 수질 목표 유지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2016년 공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며 유량별 초과 구간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축산 및 비점오염원 저감 대책 마련 향후 개발사업 배출량 예측 정교화 등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포함되었다

목차

Ⅰ 이행평가 개요
1 이행평가 주체
2 목적 및 범위
3 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
4 추진경과
Ⅱ 평가보고서 요약
1 유역구분
2 이행평가 대상기간의 수질
3 오염원 현황
4 오염삭감부하량 산정결과
5 오염삭감부하량 증감원인
1 금본H 단위유역
2 금본I 단위유역
3 금본J 단위유역
4 금본K 단위유역
5 논산A 단위유역
6 이행평가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