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일반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수탁

일반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기간
2017. 06. 01 ~ 2017. 09. 30
연구책임자
유학열
연구자
강마야,박경철,정지인
키워드
고령화,영세농,농업소득,가족구조변화,농업후계자부재,귀촌,직거래,농지집적
다운로드

일반농촌마을경제실태조사(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조사 대상은 대전 서구 증촌마을 부여군 초촌면 송국2리추양1리신암1리 논산시 야화2리 금산군 대양2리 등 총 6개 마을이다 각 마을은 초고령화 소규모 가족농 중심 경제활동의 단조로움 등 공통적인 구조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
증촌마을은 벼농사 중심의 경종농업이 주된 활동이며 60대 이상 고령 인구가 83 이상을 차지하고 농가의 대부분은 자가소비 수준의 영세농이다 평균 연간 소득은 2천만 원 이하인 가구가 다수이며 연금이나 정부 지원금 의존도가 높다
대부분 마을에서 공동체 기반의 경제활동이나 6차 산업 유통조직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농외 활동 역시 미미한 수준이다 일부 귀촌인은 존재하지만 마을 경제에 기여하는 수준은 아니다 전업농보다는 겸업농 은퇴농이 늘어나고 있음도 공통점이다
농가의 미래 계획에서는 대부분이 농업 축소 또는 은퇴를 고려하고 있으며 후계자 부재로 농업 지속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이 다수다 농업 이외 활동에 대한 의지도 매우 낮아 경제활동의 다변화는 사실상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실태는 농촌 고령화 인구 감소 농업 규모 축소 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마을에서 청년층 유입과 새로운 산업 기반 조성이 어려운 상태임을 보여준다 유일하게 검토된 대안은 도시 근접성을 활용한 직거래 장터 등 소규모 유통활동이다
정책적으로는 은퇴농 대비책 마련 마을 단위 농지 집적 및 공동영농 체계 도입 귀농귀촌 유입 전략 비농업인의 공익적 역할 확대 커뮤니티 기반 마을관리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제1장 대전시 서구 증촌마을
1 증촌마을 경제의 일반현황
2 증촌마을의 경제현황
3 증촌마을의 경제활동 전망과 시사점
4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증촌마을의 인구 변화
5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증촌마을의 가족 구조 변화
6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증촌마을 주민의 취업 구조 변화
7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증촌마을 농업 구조
Ⅱ 제2장 부여군 초촌면 송국2리
1 마을경제의 일반현황
2 마을의 경제현황
3 송국2리 마을의 경제활동 전망과 시사점
4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송국2리송현리마을의 인구 변화
5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송국2리 마을의 가족 구조 변화
6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송국2리 마을의 주민의 취업 구조 변화
7 20년사 연구 관점에서의 송국2리 마을 농업 구조
Ⅲ 제3장 논산시 채운면 야화2리
1 야화2리 경제의 일반현황
Ⅳ 제4장 금산군 남이면 대양2리
1 대양2리 경제의 일반현황
Ⅴ 제5장 부여군 초촌면 추양1리
1 추양1리 일반현황
2 추양1리의 경제현황
3 추양1리 마을의 경제활동 전망과 시사점
Ⅵ 제6장 부여군 초촌면 신암1리
1 신암1리 일반현황
2 신암1리의 경제현황
3 신암1리 마을의 경제활동 전망과 시사점
Ⅶ 제7장 사례의 종합 분석 및 정책 시사점
1 일반농촌지역 마을의 종합 분석 및 정책 시사점
2 20년사 대상 사례마을의 종합 검토 및 정책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