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지역 영상문화 진흥 방안 연구
수탁

지역 영상문화 진흥 방안 연구

기간
2017. 09. 18 ~ 2018. 06. 15
연구책임자
정지은
연구자
박철희,오용준,백운성,최웅선,최돈정
키워드
지역,영상문화,진흥정책,기반시설,지역문화진흥법,영화제,자생력,협력거버넌스
다운로드

지역 영상문화 진흥 방안연구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지역 영상문화에 대한 관심은 창조산업과 문화콘텐츠 산업 성장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각 지자체는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고 있음 영상문화는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자립을 위한 핵심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수도권에 편중된 영상문화 기반시설로 인해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 단위의 자생적 영상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음 정책 기반은 확대되었으나 실행 가능한 전략 및 과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 영상문화 현황을 조사하고 인천 대구 강원 전북 대전충남 제주 등 6개 권역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분석했다 GIS 분석 인터뷰 자문회의 등 다양한 방법론이 활용되었다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일본의 지역 영상문화 지원정책이 참고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 시민참여 기반 운영 영상문화시설 재생 전략 등이 주요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정책 제안은 추진전략 주체별 역할 분담 인프라 지원 자생력 확보 협력체계 강화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영상문화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삼고 있음 특히 영상미디어센터와 작은영화관 등 지역 밀착형 거점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지역 맞춤형 진흥 전략은 기반시설 확충 외에도 교육 상영 제작 커뮤니티 활동이 연계되는 선순환 체계를 통해 실현되어야 하며 이는 문화 다양성과 지역 정체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향후 영상문화는 지역혁신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목차

Ⅰ 제1장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2 과업의 목적
3 과업의 범위 및 추진체계
과업의 범위 및 방법
과업의 추진체계
과업의 추진경위
Ⅱ 제2장 지역 영상문화의 개념과 정책
1 지역 영상문화의 개념
지역문화의 개념
영상문화의 개념
2 지역 영상문화 관련 법률
문화기본법
지역문화진흥법
영상진흥기본법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3 지역 영상문화 관련 추진정책
지역 영상문화 관련 계획
지자체의 영상문화 관련 조례
Ⅲ 제3장 국내의 지역 영상문화 현황
1 지역 영상문화의 기반시설 및 활동 현황
지역 영상문화의 기반시설
지역 영상문화의 다양성 활동
지역 영상문화 관련 영화제
2 국내 영상문화의 기반시설 분포 현황
전국의 영상문화 기반시설 분포 현황
수도권의 영상문화 기반시설 분포 현황
지방 대도시의 영상문화 주요 시설 분포 현황
지방 중소도시의 영상문화 기반시설 분포 현황
3 국내 권역별 영상문화 특성
권역별 영상문화 특성 분석 방법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강원도
전라북도
대전광역시충청남도
제주도
Ⅳ 제4장 해외의 지역 영상문화 진흥 사례
1 영국
2 프랑스
3 캐나다
4 일본
5 사례 종합 검토
Ⅴ 제5장 지역 영상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수립 방안
1 지역 영상문화 진흥을 위한 추진 전략
지역 영상문화의 목표와 추진 전략
지역 영상문화의 선순환 체계
2 지역 영상문화 진흥을 위한 전략별 세부 과제
주체별 역할
지원 강화 방안
자생력 강화 방안
협력 강화 방안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