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보령시)도시생태현황지도 구축 연구 용역
수탁

(보령시)도시생태현황지도 구축 연구 용역

기간
2018. 12. 18 ~ 2020. 03. 11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정옥식,백승희,장하라
키워드
보령시,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생태계,자연환경보전법,주제도,GIS,야생동물
다운로드

2020_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2단계) 구축 연구용역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2단계는 도시 생태계의 정밀한 진단과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2에 따라 15000 축척의 상세지도 구축이 법적으로 요구되며 도시관리계획 등과의 연계를 위해 고해상도 생태정보가 필요했다
연구 범위는 보령시 전역이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출현지점을 중심으로 산림 농경지 하천 등 100개 지점에서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등의 현장조사가 실시되었다 기초자료는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정사영상 임상도 지적도 등 다양한 공간정보로 구성되었다
비오톱 유형은 대분류16 중분류64 소분류106 체계로 분류되었으며 도시생태계 반영을 위해 보령시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유형을 보완했다 각 유형은 토지이용 형태를 기반으로 설정되고 환경부 분류체계와 연계되었다
현장조사를 통해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식물상 등 생물다양성 요소가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는 GIS 기반의 주제도로 구축되었다 각 주제도는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도시생태계 분석의 기초가 되었다
비오톱 등급 평가는 구조적 자연성 환경적 측면을 반영하여 생태적 가치를 수치화했으며 이를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의 보존 및 활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생물다양성 서식지 연계성 인간 활동의 영향 등이 핵심 평가지표로 활용되었다
활용방안으로는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개발행위허가 등 각종 도시계획과의 연계뿐 아니라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도시생태축 설정 시민참여형 생태보전 프로그램 개발 등이 제시되었으며 지속적 갱신과 모니터링도 포함되었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Ⅱ 생태비오톱현황지도의 의미
1 생태현황지도 정의 및 개념
2 보령시 생태현황지도 구축 전략
Ⅲ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 구축
1 기초자료 수집
2 주제도 구축
3 비오톱 가치평가
Ⅳ 도시생태현황지도 활용방안
1 국토환경연동제의 기반
2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의 기반
3 도시환경계획의 기반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