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연구 범위는 보령시 전역이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출현지점을 중심으로 산림 농경지 하천 등 100개 지점에서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등의 현장조사가 실시되었다 기초자료는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정사영상 임상도 지적도 등 다양한 공간정보로 구성되었다
비오톱 유형은 대분류16 중분류64 소분류106 체계로 분류되었으며 도시생태계 반영을 위해 보령시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유형을 보완했다 각 유형은 토지이용 형태를 기반으로 설정되고 환경부 분류체계와 연계되었다
현장조사를 통해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식물상 등 생물다양성 요소가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는 GIS 기반의 주제도로 구축되었다 각 주제도는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도시생태계 분석의 기초가 되었다
비오톱 등급 평가는 구조적 자연성 환경적 측면을 반영하여 생태적 가치를 수치화했으며 이를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의 보존 및 활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생물다양성 서식지 연계성 인간 활동의 영향 등이 핵심 평가지표로 활용되었다
활용방안으로는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개발행위허가 등 각종 도시계획과의 연계뿐 아니라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도시생태축 설정 시민참여형 생태보전 프로그램 개발 등이 제시되었으며 지속적 갱신과 모니터링도 포함되었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Ⅱ 생태비오톱현황지도의 의미
1 생태현황지도 정의 및 개념
2 보령시 생태현황지도 구축 전략
Ⅲ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 구축
1 기초자료 수집
2 주제도 구축
3 비오톱 가치평가
Ⅳ 도시생태현황지도 활용방안
1 국토환경연동제의 기반
2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의 기반
3 도시환경계획의 기반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백승희
예당저수지 수질개선 기본계획 수립 용역 2012. 02. 07
지역단위 (가축분뇨)양분관리제 시범사업 2019. 05. 22
충남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중장기 조사방안 연구 2017. 02. 01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충남 환경정책의 방향과 과제 2022. 03. 01
(해외출장보고서)도시녹지 일본 선진사례 조사 2023. 02. 28
탄소흡수원 '이끼', 클러스터 기반 현황 분석 2024. 06. 17
-
장하라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삼선산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 증진 및 활성화 방안 2018. 02. 08
충남 외래생물 서식현황 및 관리 방안 2019. 02. 18
(해외출장보고서)도시녹지 일본 선진사례 조사 2023. 02. 28
충청남도 남부권 발전 방향 및 정책 과제 2022. 03. 16
충청남도 서남부권 발전 계획 연구 202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