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충남 연안에는 갯개미자리 갯기름나물 나문재 퉁퉁마디 등 10종의 유용 염생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보령태안서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아산당진은 인공구조물로 인해 밀도가 낮다
염생식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되며 단풍 등 경관 조성에도 효과적이다 습지 복원 온실가스 흡수블루카본 토양 침식 방지 등 생태적 가치도 높다
정책적으로는 염생식물 DB 구축 갯벌 기능별 구획관리 인공구조물 녹화사업 준설토 활용 서식처 조성 염해 피해지 작물화 어촌 일자리 연계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갯벌 특성에 따른 구역화로 지속가능한 이용이 가능하며 습지에 적합한 염생식물 식재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과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퉁퉁마디함초갯개미자리세발나물 등은 건강식품 및 미용소재로 수요가 높고 지역소득 증대와 고령화 대응 어촌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
목차
2 염생식물의 종류 및 분류
3 충청남도 내 유용 염생식물 분포현황
4 염생식물의 이용 및 그 가치
5 정책제언
부록 1 염생식물의 구분
부록 2 충청남도 유용 염생식물의 생태 및 활용 특성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우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 제43호제43호 2024. 12. 01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4. 04. 01
충남해역 침적해양쓰레기 분포현황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3-070) 2023. 11. 17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일본) 2023. 11. 19
2023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3. 01. 01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
-
윤영관
(충남정책지도 제18호)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10년 동안의 충청남도 해안환경 변화 2017. 12. 07
충청남도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 모델 개발 2016. 10. 17
2019년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행사 운영 2019. 07. 08
2020년 하계 금강하구(서천해역) 재해성 해양부유쓰레기 발생특성 및 정책대응 방안 2020. 08. 26
깨끗한 충청남도 연안환경 관리 방안 연구 2015. 10. 01
-
신우석
충청남도 블루카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CNI세미나2017-164)(신우석,류종성,정익교,안지환) 2017. 12. 07
충청남도 수산부산물의 재활용 및 사업화 모색(CNI세미나2018-031) 2018. 04. 16
부남호 하구내측 염수유입에 따른 육상생태계 영향 평가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CNI세미나2019-081) 2019. 09. 02
오염물질 배출시설 주변지역 과거 환경영향 기록복원 기초연구 2019. 06. 01
충남 온실가스 감축역량 강화를 위한 해양연안 부문 적용확대 방안 2020. 04. 21
충청남도 수산부산물 재활용 추진연구 2018. 01. 17
-
윤종주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제5차 충남해양수산포럼(CNI 세미나 2017-137) (윤종주, 유재영, 김대영) 2017. 10. 31
서해안 해양환경현안 공동대응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관계기관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7-088)(윤종주, 김성수,이경미,최만식) 2017. 07. 07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2016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16. 0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