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노인복지 정책의 기본방향 및 추진목표 설정 : 제3차 충청남도 노인복지 5개년 종합계획 보고서 작성을 위한 노인복지여건 분석
현안

충청남도 노인복지 정책의 기본방향 및 추진목표 설정 : 제3차 충청남도 노인복지 5개년 종합계획 보고서 작성을 위한 노인복지여건 분석

기간
2019. 08. 01 ~ 2019. 10. 30
연구책임자
김용현
키워드
노인복지,충청남도,5개년 계획,고령화,정책,건강,소득보장,문화여가
다운로드

(현안과제) 제3차 충청남도 노인복지 5개년 종합계획 보고서 작성을 위한 노인복지여건 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제2차 노인복지 5개년 계획20142018의 평가와 여건 분석을 통해 제3차 계획20192023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충남은 빠른 고령화로 2023년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97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고령자 지원체계와 노후준비 정책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중앙정부의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은 충남 노인복지계획의 중요한 참조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이 계획은 소득보장 건강관리 사회참여 확대 주거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국민연금 확대 기초연금 내실화 고령자 정신건강관리와 같은 과제가 강조되었다
타 지자체 사례에서는 강원도와 부산시가 각 지역 특성에 맞춘 노인복지계획을 수립하였다 강원도는 저밀도 지역의 교통과 생활 편익을 고려한 전략을 마련했고 부산시는 WHO 기준에 부합하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목표로 8대 분야 59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충남의 정책 수립에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충청남도는 소득보장 건강보장 문화여가 지역사회 돌봄 교통 등 5대 영역을 중심으로 43개의 자체사업과 21개의 보조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사업을 재정비하고 통합하는 방향이 검토되었다 특히 경로당 중심 정책의 중복성과 사각지대 문제 해결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제3차 충남 노인복지계획의 비전은 어르신이 행복한 충남으로 설정되었고 중점과제로는 노후준비 지원 정신건강 대책 마련 문화여가 패키지화 무장애 주거모델 개발 교통안전 교육 실시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고령자뿐 아니라 모든 세대가 함께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책 목표를 두고 있다
전반적으로 충남의 계획은 고령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전략적 접근을 보여주며 정책 통합과 다층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려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앙정부 관련 계획 검토
제3장 타 지자체 노인복지계획 사례연구
제4장 충청남도 노인복지 정책의 기본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