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미세먼지는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활동으로 발생하며 PM10 PM25 등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초미세먼지는 호흡기를 넘어 심혈관계까지 침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기오염 측정망 운영 경보제도 도입 대기정보 포털 운영 등을 통해 대기질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과 홍보도 강화하고 있다
태안군의 경우 농업활동 도로재비산 비포장도로 등이 주요 비산먼지 발생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은 220개소에 이른다 대부분이 건설업으로 전국 대비 054의 비중을 차지한다 충청남도 내에서 태안은 오염물질 배출량 기준 5위에 해당하며 NOx SOx VOCs가 주요 배출 물질이다 이에 따라 비산먼지 배출사업장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대규모 사업장은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되었다 환경부는 총량관리제를 통해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제한하고 있으며 굴뚝 원격감시 체계 비산배출시설 관리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비산먼지 관리 매뉴얼을 통해 업종별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충청남도와 태안군은 지역 특성에 맞는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외협력 산업수송생활부문 대책 민감계층 보호 정책 기반 구축 등 다방면의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주민 참여와 교육이 강조되며 현장 근로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이 중점 과제로 설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태안군의 미세먼지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종사자 대상의 교육자료 개발과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기환경 개선과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
목차
미세먼지의 정의와 건강영향
미세먼지 정보 알기
태안의 미세먼지 현황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관리
비산먼지 배출사업장 관리
충청남도와 태안의 미세먼지 종합 대책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세호
2019년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행사 운영 2019. 07. 08
충청남도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19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 2019. 08. 01
충청남도 미세먼지 대응 역량강화 세미나(CNI세미나2019-075) 2019. 08. 21
제2기 태안군 지역사회복지계획(2011~2014) 2010. 01. 01
2019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19. 01. 10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
김종범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대응관련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33) 2021. 1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