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19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
수탁

2019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

기간
2019. 07. 22 ~ 2019. 12. 18
연구책임자
윤종주
연구자
신우석,윤영관,이상우
키워드
황도 갯벌,연륙교,해수유통,저서생물,바지락,죽뻘,퇴적물,생물다양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9년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연구는 2011년 황도 연륙교 건설이 갯벌 생태계에 미친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질 퇴적물 저서생물 등을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비교 분석했다
연륙교 건설 전에는 방조제 역할로 해수 유통이 제한되어 IV구역을 중심으로 죽뻘화가 진행되었고 저서생물 다양성 감소 및 패류 생산성 저하가 나타났다 그러나 연륙교 개통 이후 해수 유통이 회복되면서 모래함량이 증가하고 저서생물의 생존 환경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조사 결과 전체 구역에서 저서생물 출현 종 수와 생체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바지락 생산량은 연평균 133톤에서 187톤으로 증가하였다 IV구역은 모래 비율이 2010년 107에서 2019년 383로 증가하며 혼성갯벌로 회복 중이다
해양수질은 여전히 일부 구간에서 나쁨 등급을 보이나 중금속과 유기물 오염지수는 기준 이하로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평가되었다 퇴적물의 오염도는 낮았으며 유기물의 주요 기원은 해양에서 유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양생물 분석에서는 환형동물과 연체동물이 주요 구성종으로 나타났고 바지락은 II구역에서 가무락은 III구역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저서생물 건강도는 II구역이 가장 양호하며 나머지 구역은 보통 이하 등급이었다
보고서는 황도 갯벌의 퇴적환경 및 생물다양성 회복 추세를 확인하고 향후 가무락과 굴 자원의 확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정기 모니터링과 함께 종패 살포 관리계획 수립 등의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1 과업 배경 및 필요성
2 과업의 목적
3 과업의 범위
제2장 지역 현황 및 기초 조사
1 지역 환경 특성
2 선행연구 조사
제3장 현장조사 및 결과
1 해양수질
2 퇴적물
3 저서동물
4 종합평가
제4장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환경변화
1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해양수질 변화
2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퇴적물 변화
3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저서생물 변화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해양환경 기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