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안역 블루카본 잠재적 가치평가 연구용역
수탁

연안역 블루카본 잠재적 가치평가 연구용역

기간
2017. 08. 21 ~ 2018. 06. 16
연구책임자
신우석
연구자
윤종주,이상신,윤수향,윤영관,정연앙,임지윤
키워드
블루카본,충청남도,탄소저감,갯벌복원,해조류,패류양식,해중림,기후변화
다운로드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블루카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충청남도는 자치단체 차원에서 연안 생태계의 탄소 흡수 능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했다 블루카본은 갯벌 잘피 해조류 등 해양 생물 기반 생태계가 흡수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하며 산림보다 단위면적당 탄소 흡수 효율이 높다
블루카본 대상 생태계로는 갯벌 해조류 잘피 패류 등이 선정되었으며 각 생태계별 탄소 고정량과 경제성을 계량화하였다 충남 갯벌의 경우 연간 약 33900톤의 CO₂를 저장하는 능력이 있으며 해조류패류도 각각 약 16000톤과 2000톤의 탄소를 고정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러한 블루카본 생태계는 단순 생태적 가치 외에도 연간 수십억 원 규모의 탄소 저감 경제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갯벌 복원 해조류 양식 확대 잘피 이식 인공어초 조성 등은 탄소 고정량을 증대시키는 주요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현재 충청남도는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블루카본의 관리체계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국가정책과 연계한 체계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산림탄소상쇄제와 유사한 블루카본 인증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민간 참여 유도도 가능하다
정책 제언으로는 대상별 관리 방안 실태조사 확대 탄소 저감량의 정기적 평가 및 인증체계 구축 생태관광 연계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중장기적으로는 충남형 블루카본 로드맵을 수립하고 국제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블루카본은 충청남도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과 지속가능한 해양관리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며 탄소중립과 생태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다목적 자산으로 평가된다

목차

I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연구배경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범위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연구 범위
4 연구 수행 체계
II 제2장 블루카본 개념 및 대상 선정
1 블루카본 정의
블루카본 개념
블루카본과 그린카본 비교
블루카본과 관련된 법제도 현황
블루카본 관련 국가 및 지방자치제의 역할
블루카본 관련 시장현황 및 전망
2 블루카본의 역할
탄소 흡수원으로서 해양의 역할
블루카본 흡수배출 메커니즘
3 국내외 블루카본 사례조사
국외 사례
국내 사례
국내외 블루카본 연구사례 관련 시사점
4 충청남도 블루카본 대상 선정
국내외 블루카본 대상
국내외 블루카본 대상에 대한 시사점 도출
충청남도 블루카본 대상 선정
5 블루카본 인식조사
설문조사 개요
설문조사 결과
III 제3장 현장조사 및 결과
1 블루카본 현장조사 개요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
2 현장조사 방법
시료 채취 방법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3 현장조사 결과
갯벌 퇴적물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기원 추정
충청남도 패류 일반 현황
충청남도 해조류 일반 현황
그 외 대상 일반 현황
IV 제4장 블루카본 탄소 고정량 및 가치평가
1 블루카본 탄소 고정량 산정 방식
충청남도 갯벌 내 탄소 고정량 산정 방식
충청남도 패류 내 탄소 고정량 산정 방식
충청남도 해조류 내 탄소 고정량 산정 방식
이 외잘피 해중림 인공어초 탄소 고정량 산정 방식
2 블루카본 탄소 고정량 추정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추정
3 블루카본 탄소 저감에 따른 경제성 평가
충청남도 블루카본 경제성 평가
4 블루카본 탄소 저감 가치비교
충청남도 블루카본 대상 간 이산화탄소 저감 비교
충청남도 블루카본 가치 비교
V 제5장 충청남도 블루카본 증진 방안
1 충청남도 블루카본 대상별 현안문제
갯벌 복원 관련 현안문제 및 개선방안
해초지해중림 조성 관련 현안문제 및 개선방안
해조류 서식처 조성 및 양식 관련 현안문제 및 개선방안
패류 조성사업 및 양식 관련 현안문제 및 개선방안
SWOT 분석
2 블루카본과 산림탄소상쇄 인증제도 비교
산림탄소상쇄제도
3 충청남도 블루카본 증진 방안
국가지원사업과 연계한 블루카본 증대 방안 마련
블루카본 대상별 증진 방안 마련
블루카본 증진복원 평가체계 구축
블루카본갯벌 복원 현장 조사 및 모니터링 평가 항목
VI 제6장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및 활성화 방안
1 충청남도 블루카본 중장기 로드맵 제시
충청남도 블루카본 추진 비전 및 목표
충청남도 블루카본 로드맵 제시
2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및 활성화 방안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및 활성화의 배경 및 목적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및 활성화의 기본방향
충청남도 블루카본 탄소저감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
3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동북아시아 자치단체 참가를 통한 국외 네트워크 형성
워크숍 학술대회 참가를 통한 국내 네트워크 형성
지속적인 국내외 네트워크 추진을 위한 지원 및 체계구축 필요
VII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