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유치 예정인 B사의 투자로 인해 발생할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기업 유치로 인한 지역 경제 효과는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구분되며 건설효과는 설비 신증설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반면 생산효과는 기업의 가동이 지속되는 한 계속 발생하므로 유치지역인 천안시 입장에서는 생산효과가 더 중요하다
기업의 투자계획은 총 3단계에 걸쳐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진행되며 설비투자액은 약 3059억 원 고용계획은 총 842명이다 입지 면적은 약 17만로 동부바이오산업단지 내에 위치하며 고용은 20252028년에 집중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은 충남연구원의 시군단위 지역투입산출표MRIO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 간 산업 연관효과를 추계하였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B사의 고용계획을 기준으로 천안시 내 생산액 유발 효과는 약 1194억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약 224억 원 고용 유발은 84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통해 천안시 지역경제에 장기적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건설효과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투자계획에 따라 발생하며 전국적으로는 총 8708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 3059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3330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중 천안시에서 발생하는 효과는 생산유발 3594억 원 부가가치 1405억 원 고용 1762명으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하였다
다른 충남 시군 및 인접 지역에도 일부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규모는 제한적이었다 수도권 대전 충북 등 외부 지역에도 일정 부분의 효과가 분산되었으며 이는 기업 유치가 단일 지역뿐 아니라 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천안시의 B사 유치는 단기적 건설효과와 더불어 장기적 생산효과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홍보자료로 활용하여 유사 기업 유치 시 설득력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천안시 산업정책 및 고용 전략 수립에도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기업의 투자계획은 총 3단계에 걸쳐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진행되며 설비투자액은 약 3059억 원 고용계획은 총 842명이다 입지 면적은 약 17만로 동부바이오산업단지 내에 위치하며 고용은 20252028년에 집중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은 충남연구원의 시군단위 지역투입산출표MRIO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 간 산업 연관효과를 추계하였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B사의 고용계획을 기준으로 천안시 내 생산액 유발 효과는 약 1194억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약 224억 원 고용 유발은 84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통해 천안시 지역경제에 장기적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건설효과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투자계획에 따라 발생하며 전국적으로는 총 8708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 3059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3330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중 천안시에서 발생하는 효과는 생산유발 3594억 원 부가가치 1405억 원 고용 1762명으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하였다
다른 충남 시군 및 인접 지역에도 일부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규모는 제한적이었다 수도권 대전 충북 등 외부 지역에도 일정 부분의 효과가 분산되었으며 이는 기업 유치가 단일 지역뿐 아니라 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천안시의 B사 유치는 단기적 건설효과와 더불어 장기적 생산효과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홍보자료로 활용하여 유사 기업 유치 시 설득력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천안시 산업정책 및 고용 전략 수립에도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지역 내 기업유치의 경제적 효과 구분
제2장 천안시 기업유치 효과분석
제1절 기업이전 개요
제2절 효과 분석방법
제3장 분석결과
제1절 생산효과
제2절 건설효과
제2장 천안시 기업유치 효과분석
제1절 기업이전 개요
제2절 효과 분석방법
제3장 분석결과
제1절 생산효과
제2절 건설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