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계룡시 국내기업 6개사 투자유치의 경제적 효과분석
현안

계룡시 국내기업 6개사 투자유치의 경제적 효과분석

기간
2019. 08. 04 ~ 2019. 08. 30
연구책임자
김진기
연구자
임재영,이종윤
키워드
유치기업,투자개요,기업이전,경제적효과,생산효과,건설효과,계룡시,지역경제
다운로드

(현안과제) 계룡시 국내기업 투자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제출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계룡시 제12 산업단지로의 6개 기업 이전 및 공장신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생산효과와 건설효과를 중심으로 지역 내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생산효과는 기업이 지역에 정착한 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제활동으로 계룡시의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에 지속적 영향을 준다 반면 건설효과는 부지 조성과 시설 설치 등 일회성 투자로 인해 단발적으로 발생하는 효과로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기업들은 전기장비 펄프종이 금속정밀의료 음식료 분야로 20182022년간 약 495억 원을 투자하고 총 137명을 신규 고용할 계획이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기업이전으로 인해 계룡시 내 생산액 약 75억 6천만 원 부가가치 약 21억 5천만 원이 발생하며 고용창출은 137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설효과는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으며 계룡시에서의 유발 효과는 생산액 606억 원 부가가치 253억 원 고용효과 682명으로 추산되었다 이는 전체 건설효과의 약 절반 수준으로 지역 내 파급력이 크다는 점이 강조된다 그러나 이는 기업 설비 가동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효과로 지속성은 낮다
결론적으로 계룡시는 생산효과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이 지속적으로 운영됨으로써 발생하는 장기적 부가가치와 고용효과가 지역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건설효과는 단기적으로 유효하나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과 운영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관련 정책은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계룡시의 기업유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 유치기업 투자개요
2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3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
1 생산효과
2 건설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