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분석 대상 기업들은 전기장비 펄프종이 금속정밀의료 음식료 분야로 20182022년간 약 495억 원을 투자하고 총 137명을 신규 고용할 계획이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기업이전으로 인해 계룡시 내 생산액 약 75억 6천만 원 부가가치 약 21억 5천만 원이 발생하며 고용창출은 137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설효과는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으며 계룡시에서의 유발 효과는 생산액 606억 원 부가가치 253억 원 고용효과 682명으로 추산되었다 이는 전체 건설효과의 약 절반 수준으로 지역 내 파급력이 크다는 점이 강조된다 그러나 이는 기업 설비 가동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효과로 지속성은 낮다
결론적으로 계룡시는 생산효과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이 지속적으로 운영됨으로써 발생하는 장기적 부가가치와 고용효과가 지역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건설효과는 단기적으로 유효하나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과 운영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관련 정책은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계룡시의 기업유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2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3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
1 생산효과
2 건설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종윤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지역경제 이슈발굴을 위한 미래전략연구 세미나(이종윤,홍원표) 2015. 02. 16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중부대학교 이전의 효과분석 (임재영,이종윤) 2013. 09. 04
2016년 제4차 공공투자연구포럼 2016. 08. 05
-
김진기
충남도 그랜드비전 실천전략 연구 2020. 12. 10
충남의 인도네시아 해외사무소 설립 방향 2021. 03. 03
충남형 농산어촌 주거플랫폼 실현방안 2021. 08. 14
부여군 재정진단 및 세출효율화를 위한 연구용역 2023. 09. 01
충남연구원·글로벌 스타트업 간담회 2023. 01. 25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