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이후 생략
목차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방법 4
1 문헌 및 언론자료 분석 4
2 통계자료 및 조사 보고서 분석 4
3 설문조사 4
4 인터뷰조사 7
4 연구 범위 및 개념 정의 8
1 내용적 범위 8
2 공간적 범위 8
3 시간적 범위 9
5 분석틀 10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 분석 11
1 개념 정의 및 의의 11
1 사회통합의 개념 및 정의 11
2 의의 및 필요성 13
3 사회통합의 대상 17
4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자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17
2 사회통합지수 개발 및 논의 19
1 국내 사회통합지수 19
2 국외 사회통합지수 25
3 한국인의 사회통합인식 실태 28
4 사회통합지수 개발 및 활용 30
3 분야별 연구 동향 31
1 이민자외국인근로자 및 결혼이민자 연구 및 논의 동향 31
2 북한이탈주민 연구 및 논의 동향 37
4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42
제3장 사회통합 정책 동향 및 사례 43
1 사회통합의 연구 및 정책 동향 43
1 사회통합의 정책 연구 경향 43
2 지역사회통합지수의 개발과 연구 44
3 정부의 사회통합 정책 방향 46
2 충남도 사회통합 연구 및 논의 동향 52
1 사회갈등 인권 불평등 분야 52
2 이주민 및 북한이탈주민 분야 53
3 국내 지자체 사례 분석 54
1 서울시 54
2 전남도 63
4 국외 사례 67
1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이주민 정책 사례 67
2 프랑스의 사회통합정책 76
3 일본의 사회통합 정책 84
제4장 충남도 사회통합 설문조사 분석 88
1 충남도 사회통합 실태 조사의 의의와 구성 88
2 충남도 사회통합 실태 설문조사 및 분석 89
1 응답자 일반사항 89
2 사회포용 91
3 사회적 신뢰 97
4 사회참여 및 지원 수준 103
3 요약 및 시사점 110
제5장 충남도 사회통합 대상자 인터뷰조사 분석 113
1 충남도 사회통합 대상자 조사 개요 113
2 충남 외국인근로자 실태 분석 114
1 현황 114
2 심층면담인터뷰 분석 115
3 실태와 문제점 127
3 충남 결혼이주자 실태분석 128
1 현황 128
2 심층면담분석 130
3 실태와 문제점 138
4 충남 북한이탈주민 실태 분석 139
1 현황 139
2 인터뷰조사 분석 141
3 실태와 문제점 165
제6장 충남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과제 169
1 기본 방향 169
2 세부 정책 과제 171
1 사회통합지표의 개발 및 활용 171
2 이주민 사회통합 방안 176
3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방안 185
제7장 충남도 사회통합 추진체계 및 실행 방향 190
1 법률적 제도적 지원 방안 190
1 외국인이주민을 주민으로 대하는 법제도 마련 190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주의적 관점의 법제도 마련 191
2 주체별 역할과 과제 192
1 중앙정부기관충청남도 시군 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정보의 공유 192
2 충남외국인주민통합지원콜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193
3 민관협력체계의 강화 및 역할 분담 193
3 단계별 실행 방안 194
1 충남도 사회통합의 명확한 비전 제시 194
2 충남도 사회통합 논의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운영 196
3 충남도 사회통합 정책지표 설정 및 관리 199
4 외국인이주민을 충남도 국제화시대 역군으로 육성 200
제8장 요약 및 결론 202
1 연구 요약 202
2 결론 205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207
부 록 214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
-
신혜지
열린충남73호 2015. 12. 01
열린충남64호 2013. 09. 01
열린충남69호 2014. 12. 23
충청남도 민관협치 실태와 전략적 추진방안 2024. 02. 26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023. 02. 13
주민수요에 부응한 충남자치경찰의 전략과 과제 2023. 02. 06
-
이홍택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열린충남 제87호 (2019-여름) 2019. 06. 25
2025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5. 06. 19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
장창석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워크숍(오수길,장창석) 2016. 12. 05
찾아가는 지속가능발전 및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오수길) 2016. 10. 20
충남 사업장폐기물 매립장 입지 갈등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장창석, 홍수열, 장용철) 2015. 09. 23
2015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 2015. 10. 12
충청남도 지방공기업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CNI세미나2017-106)(장창석,최진하) 2017. 08. 30
도시군 공공갈등 협력 강화를 위한 충청남도 갈등관리 관계관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18) (고승한, 이영웅, 전상욱) 2017. 03. 22
-
전지훈
사회적경제 융복합연속포럼1: 사회적경제로 지역문화를 가꾸다.(CNI세미나2017-130) (전지훈,신현길,노재정) 2017. 10. 23
마을 공동자산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모색 (배성기, 전대욱) 2016. 12. 05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사회적경제활동으로 지역문화를 가꾸다 2017. 10. 23
-
김진영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2013 충청권 경제교육 전임강사 역량강화 워크숍 (김진영,남서진) 2013. 10. 21
충남지역 중소기업 CEO 경제아카데미 (유철수,김화진,김진영) 2009. 12. 23
(CNI세미나 2022-005)'충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마련'워크숍 2022. 04. 08
-
김병준
충청남도 조례 사후 입법평가 연구 2020. 06. 30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04. 27
충남 정책특별보좌관 정책간담회(CNI세미나2020-022) 2020. 07. 09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워크숍(오수길,장창석) 2016. 12. 05
충남연구원 미래비전 및 발전방안 워크숍(CNI세미나 2021-037) 2021. 11. 03
-
김용현
충남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워크숍:주민센터의 행정복지센터로의 전환(함영진,김용현) 2016. 12. 12
저출산 개선방안 워크숍(CNI세미나2017-028) (박종서, 김용현) 2017. 04. 17
제5차 사회복지연구회 워크숍(김용현) 2015. 09. 24
충남 복지정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합동토론회(이상진, 이재완, 한치흠, 김용현, 류진석) 2015. 03. 09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복지 방향의 미래 워크숍(CNI 세미나 2017-091)(김용현,최석현) 2017. 07. 21
충남 복지분야 워크숍-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고리, 사회안전망(김용현) 2015. 05. 15
-
목소리
연구원저서-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스무가지 목소리 2021. 04. 23
정부 간 관계 재정립에 따른 충남의 자치분권 전략과 과제 2022. 03. 01
우리술현장 연구회 2024. 02. 26
2차 사회적경제 포럼(CNI세미나2019-061) 2019. 07. 19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CNI세미나 2024-94)2024년 충남연구원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차 현지탐방&세미나 2024. 11. 05
-
윤향희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외국인가정 자녀의 한국어교육 현황검토 2022. 07. 27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실효성있는 유아 교육방안 제안 2023. 03. 02
천안시 성정2동 다문화가정의 복지서비스 실태 2022. 11. 01
외국인 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양극화 해소 방안 마련 2022. 03. 01
-
성태규
공군사격장 환경피해 해결을 위한 환경영향조사 사전연구 워크숍(성태규,권철휘,임상혁) 2016. 08. 30
2018 미래정책연구회 학술회의 (CNI세미나2018-077)김성현,조세종,조복현,권선필,김종남,김성표,김명수,안기돈,성태규 2018. 08. 30
공군사격장 환경피해 해결을 위한 환경영향조사 사전연구 2차 워크숍(성태규,임상혁,김훈) 2016. 10. 13
통일 대비 충남의 대북교류협력 워크숍(김갑식,김학성) 2016. 11. 04
2018 미래정책연구회 '전환기 한국사회와 지역의 과제' 정책심포지움(CNI세미나2018-002)(김명수,지남석,성태규,정우택) 2018. 02. 22
국가안정망 세미나(우해봉,형희환,최석현,서남규) 2016. 02. 01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