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도 그랜드비전 실천전략 연구
전략

충남도 그랜드비전 실천전략 연구

기간
2020. 12. 10 ~ 2021. 12. 31
연구책임자
김진기
연구자
김진영,송영숙,전춘복,김영수,윤향희
키워드
기후위기,자연재해,충청남도,실천전략,인공지능,청년정책,기본소득,스마트시티
다운로드

충남 그랜드비전 연구(2)_최종(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팬데믹 시대는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삶의 방식과 사회의 가치관까지 바꾸는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기존 경제 우선주의에서 안전환경생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전환되었고 지속적인 자연재해 및 기상이변이 이러한 인식을 더욱 강하게 만들고 있다
자연재해의 대표적 사례인 태풍은 종종 심각한 피해를 주지만 역설적으로 가뭄을 해소하고 바다의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등 자연 서비스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처럼 자연현상 자체는 중립적이며 이를 재해나 서비스로 만드는 것은 인간의 대응과 적응력에 달려있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는 이러한 자연재해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더 강력한 태풍과 한파 등 기상이변을 초래하여 자연재해의 피해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며 온실가스 배출 감소가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게놈 혁명 등 과학기술 발전은 인간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질병 치료 및 생명 연장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진화까지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발전은 윤리적사회적 논의를 동반해야만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에서 엄청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타격을 입히고 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며 어느 정도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으나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팬데믹 이전의 삶으로 완전한 복귀가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결국 팬데믹 시대는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 시기이며 자연재해와 기후위기 대응 과학기술의 활용과 통제 사회적 거리두기와 백신 접종 등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기후위기와 바다 공존共存 COEXISTENCE의 지혜
1 들어가며
2 자연재해
3 기후변화기후위기기후비상
4 무엇을 할 것인가
5 나가며
Ⅱ 게놈혁명 긍정적 인류의 미래
1 들어가며
2 게놈 혁명을 통한 인간 삶의 혁명
3 생명은 무엇인가
4 인간주도 변화 진화와 미래인간
Ⅲ 팬데믹과 인류
1 들어가며
2 전 세계의 유행 현황
3 SARSCoV2
4 코로나19의 임상양상과 치료
5 COVID19 Vaccine
Ⅳ 양극화와 기본소득
1 들어가며
2 기본소득이란
3 소득불안 기본소득 논의의 출발
4 노동과 생산 개념의 변화
5 재정논의 패러다임 전환
Ⅴ AI와 일자리의 미래
1 대전환기
2 인공지능 실체
3 AI 산업 응용
4 AI 시대의 리더
Ⅵ 청년과 미래 새로운 미래를 여는 키워드
1 정책 패러다임 청년
2 대한민국 청년 지금 어디에 있는가
3 청년 정책의 공백에서 핵심으로
4 청년정책 자유안정성을 높이는 전략
Ⅶ 우리가 꿈꾸는 복지국가
1 들어가기
2 성공
3 성공의 덫
4 대한민국은 왜
5 무엇을 해야 할까
Ⅷ 인공지능이 바꿀 미래
1 들어가며
2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3 디지털 전환 시대를 위한 Data AI Management
4 창의적인 AIX 서비스 대응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플랫폼 구축
5 지속가능한 XAI 생태계를 위한 디지털 뉴딜
6 디지털 전환이 주는 위기와 기회에 대응하려면
Ⅸ 영원한 에너지 핵융합
1 들어가며
2 핵융합에너지 연구개발의 특징
3 한국의 핵융합 RD
4 핵융합 에너지 개발 전망
Ⅹ 미래 도시와 교통
1 들어가며
2 스마트시티란
3 스마트시티의 목적과 방향
4 스마트시티 건설 전략
5 스마트시티와 미래 모빌리티
6 결론
XI 기술발전과 인간
1 기술의 자리 자연이 된 기술
2 인간의 자리 얻어먹는 100만 명
3 호모파베르의 역설과 목적이 이끄는 과학기술 발전
XII 인구와 사회
1 들어가며
2 인구학이란
3 우리나라의 인구 변화 인구절벽
4 우리나라 미래 어떻게 변할까
5 인구집중
6 인구의 증감에 대한 기본원리 탐구 인구론과 종의 기원
7 인구밀도와 인구편중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