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여군 중장기 산림발전계획 수립
수탁

부여군 중장기 산림발전계획 수립

기간
2020. 07. 07 ~ 2021. 10. 31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백승희,장하라,박경철,강마야,정옥식,유학열
키워드
부여군,산림,발전계획,중장기,산림축,임업,고령,생태축
다운로드

부여군 중장기 산림발전계획 수립_최종보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군 중장기 산림발전계획20222050은 건강한 산림 생태 보전과 임산업 혁신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수립되었다 기후변화 대응 고령 임업인 보호 산림복지 수요 증가 등을 고려해 생태적경제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제시되었다
부여군 산림은 전체 면적의 47로 주요 수종은 밤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이며 전국 밤 생산량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특화되어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밤나무림의 지속 경영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으며 산림 패치 대부분은 소규모로 단절된 구조다
전략은 5개 방향 17개 세부과제로 구성되며 핵심 과제는 생태축 설정 사유림 매입 및 복합경영 유도 임지연금 및 임지은행 도입 백제형 숲 조성 정원도시 및 치유의 숲 조성 등이다 특히 생태축은 제05위계로 분류되며 위계별로 개발 제한 및 보전 기준이 달리 적용된다
고도古都 브랜드 강화를 위해 백제 유적지 주변에 금강송 등 전통 수종을 활용한 백제형 숲과 백제정맥숲길을 조성하고 역사문화산림을 연계한 스토리텔링 기반 정원도시도 추진된다 주민 참여형 정원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도 포함되었다
생활 밀착형 산림복지 확대를 위해 치유의 숲 미세먼지 저감 숲 등 도시근접형 숲 조성도 강조된다 고령 주민 대상 치유 프로그램과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공도 포함되며 민간 숙박체험업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도 계획되었다
계획은 2050년까지 연도별 로드맵에 따라 단계별로 추진되며 생태 보전과 경제적 활용이 균형 잡힌 산림정책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브랜드가 되고 경제가 되는 부여숲 실현을 목표로 한다

목차

I 계획의 개요
II 산림발전 여건분석
III 산림발전 전략
IV 세부과제 추진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