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워크숍
정책지원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워크숍

기간
2022. 11. 04 ~ 2022. 12. 31
연구책임자
오병찬
연구자
박혜은,강경연,김성희,정진주
키워드
도시재생,공공디자인,실험실,곡성,전통시장,경관심의,체크리스트,주민참여
다운로드

2022 공공디자인센터 워크숍 자료집(7).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는 곡성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을 통해 지역 자산과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려는 시도다
뚝방마켓과 기차마을을 연결하는 디자인 설계를 통해 공공공간의 기능을 확장하고 방문객의 동선을 유도한다
공공디자인 실험실은 Tactical Urbanism 기법을 적용하여 임시 설치와 테스트를 통해 도시 문제 해결을 시도한다
흡연 쓰레기 문제와 같은 일상적 도시문제를 실험을 통해 시민과 함께 접근한다
만남의 숲길 쉐도우 스페이스 등은 도심 속 공공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람 중심의 도시를 만드는 사례로 제시된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시민들이 실험 결과에 만족했고 향후 유지와 확산을 원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충남의 공동주택 경관심의 기준은 기존 경관계획과 건축법 사이에서의 조율이 필요하며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개선이 제안되었다
경관 요소 간 조화 연계성 개방성 등을 기준으로 공공디자인의 효과적 심의를 유도하려는 노력이 담겨 있다
실험을 통한 공공디자인은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시민의 행동과 의식을 바꾸는 데 기여하며 앞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확장 가능하다

목차

도시재생 INSIGHT
노란 희망 문화장터
POWER UP
PROCESS
Synergy of the people in DUKBANG
Media Outside activities
Before After 데이터 비교
Key Takeaway Awards
웨이파인딩 3D 공간디자인 과업 개요
수요조사 및 디자인 퍼실리테이션
기차마을 전통시장 ISSUE 분석
공공디자인 실험실 개요 및 전략
실험 방법론 Tactical Urbanism PSA
사례 만남의 숲길 쉐도우 스페이스 도심 속 캠핑
공공디자인 실험 결과 및 참여자 반응
충남 공동주택 경관심의 기준 개발 배경
충남 공동주택 경관 체크리스트 항목 구성
심의도서 작성 가이드라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