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장애인 일자리 활성화방안 연구
현안

장애인 일자리 활성화방안 연구

기간
2023. 02. 10 ~ 2023. 04. 30
연구책임자
이민정
키워드
당진시,장애인 일자리,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고요한 택시,장노 돌봄서비스,고구마 카페,사회적기업,연계고용제도
다운로드

현안과제 2023 일반-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당진시는 최근 10년간 장애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심하지 않은 장애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일자리 관련 조례가 부재하여 타 지역에 비해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는 복지일자리와 행정도우미 형태의 공공형 일자리가 중심이며 민간 참여형 일자리는 미비하다
국내외 사례에서는 장애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일자리 모델이 존재한다 일본의 유통매장 진열직 베트남의 청각시각장애인 중심 외식업 국내의 고요한 택시 수화식당 등이 있으며 장애인의 강점을 살린 직무 배치와 사회적 기업 형태의 운영이 특징이다 특히 대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주요 고용 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진시에서는 지역 특성과 연계한 신규 장애인 일자리를 제안한다 대표적으로는 작업복 세탁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 청각장애인 중심의 택시 운전 일자리 독거노인 돌봄을 담당하는 공공형 일자리 등이 있다 또한 당진 특산물인 고구마의 B급 상품을 활용한 가공 및 카페 운영도 가능성을 가진 모델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제안은 단순 고용 확대를 넘어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와 지역사회 기여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장애인을 단순 보호 대상이 아닌 노동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 전환이 동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 조례 정비와 행정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년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매칭형 적금제도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자산형성뿐 아니라 금융교육을 병행함으로써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 지자체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운영이 가능하다

목차

제1장 일반현황 및 장애인일자리 정책
제2장 해외 및 타지역 사례
제3장 당진시 현황 및 당진형 장애인일자리 정책제안
제4장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