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현안

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기간
2023. 03. 13 ~ 2023. 08. 31
연구책임자
강마야
연구자
정봉희,장창석,이민정,제수진,임형빈,최윤정
키워드
인권영향평가,인권경영체계,조직 내 소통,공급망 인권보호,지역사회 인권,실태조사,제도개선,충남연구원
다운로드

★231201_(현안과제)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_최종보고서_강마야 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40117_(현안과제)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_최종보고서PPT(수정)_ppt(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남연구원이 2022년 수행한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의 인권경영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평가 항목은 기본평가와 특별평가로 구성되며 기본평가는 인권경영 체제 구축과 공급망 및 지역사회 인권보호에 초점을 맞췄고 특별평가는 조직 내 소통과 인권 실태를 조사하였다 인권경영 체제 구축은 대체로 이행된 반면 공급망과 지역사회 인권 관련 지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평가에서는 인권존중 정책선언 인권영향평가 정기적 실시 구제절차 마련 등은 이행률이 8590로 높게 평가되었지만 협력기관의 인권보호 모니터링과 지역사회 인권침해 대응은 대부분 이행되지 않아 개선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체크리스트 항목을 재정비하고 외부 이해관계자까지 고려한 인권경영 강화가 제안되었다
특별평가에서는 구성원 간 소통 부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 직원 참여형 회의 과제 투명공개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내부 구성원이 주도하여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참여형 평가 방식은 다른 기관과 차별화된 충남연구원의 특징으로 평가된다
이 외에도 인권친화적 일터 조성을 위한 교육 가이드라인 도출 고충상담 창구 운영 등의 활동이 병행되었으며 통합예방 매뉴얼을 제작하고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한 신고체계도 구축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평가의 의미는 인권경영을 단순한 규정 준수 차원을 넘어서 실질적 실천으로 확산시키려는 시도에 있으며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점에서 인권친화적 조직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향후에는 외부 자문을 통한 점검과 협력기관 대상 인권관리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추진개요
3 기본평가 인권영향평가 분석결과
4 특별평가 조직 내 소통과 인권 실태 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부록1 2022년 기준 충남연구원 인권 경영 체크리스트
부록2 2022년 기준 충남연구원 인권 영향평가를 위한 [조직 내 소통과 인권] 실태조사 설문지
부록3 직장 내 소통에 대한 선행자료 요약
부록4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를 위한 연구진 회의록1차7차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