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현안

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기간
2023. 10. 10 ~ 2023. 12. 30
연구책임자
강마야
연구자
최윤정
키워드
청소년 인권,직장 내 괴롭힘,조직문화,인권친화적 조직,자율적 교육방식,인권 감수성,영화 기반 교육,개선방안
다운로드

231227_(현안과제)충남연구원 인권교육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_한글최종보고서_강마야.최윤정(수정본)(5).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카피킬러 종합 결과확인서(현안과제)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40117_(현안과제)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통합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PPT(수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교육은 경영진과 전체 직원 대상으로 실행되었으며 영화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소통 중심 교육방식을 채택했다 경영진 교육은 조직 내 인권침해 사례와 해결 방식을 주제로 강의와 사례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인권적 해결방식과 조직문화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체 직원 교육은 월간 인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청소년 노인 직장문화를 다룬 세 편의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형식으로 운영되었다
총 12회차에 걸쳐 진행된 이 교육에는 146명 중 117명이 참여하여 801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점심시간을 활용한 소규모 그룹 교육이 집중도 향상에 기여했다 특히 Padlet 프로그램을 활용한 익명 의견 공유 방식은 자유롭고 활발한 소통을 유도하여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교육 내용은 단편적인 전달보다 감수성과 공감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인간의 존엄 차별 배제 등의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도하였다
교육 후 참석자들은 사법적 해결과 인권적 해결의 차이에 대해 인식하고 조직문화 변화에 있어 구성원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관리자들은 교육을 통해 일상 속에서 인권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고 직원들은 강제적 교육이 아닌 자발적 공감이 인권의식 형성에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교육 강사 또한 향후 교육의 구성과 방법론에 대해 반성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독서모임 문화예술 공연 개별상담 부서별 맞춤형 대면교육 강사초청 등 다양한 형태의 인권교육 확대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인권교육이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프로그램의 지속성과 다양성 확보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 유도 인권경영문화 정착을 위한 전략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 교육은 단순한 법적 의무를 넘어 구성원들의 인권감수성을 높이고 조직 내 인권친화적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향후에도 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공유하여 충남연구원 전체에 인권적 사고방식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충남연구원의 인권교육은 자율성 소통 공감이라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효과적인 내적 변화와 학습을 이끌어냈으며 향후 공공기관 인권교육의 모범 사례로서 발전 가능성을 지닌다

목차

1 서론
2 경영진보직자 인권교육 결과분석
21 인권교육 개요
22 인권교육 세부내용
23 인권교육 결과요약 및 후기
3 전체 구성원 인권교육 결과분석
31 인권교육 개요
32 인권교육 참석결과 분석
33 인권교육 세부내용
34 인권교육 결과요약
35 인권교육 후기
4 인권교육 개선방안
41 인권교육 내용컨텐츠에 대한 개선방안
42 인권교육 형식방법론에 대한 개선방안
5 요약 및 결론
51 요약
52 의의와 한계
부록1인권교육 관련 자문회의 회의록
부록2 2023년 충남연구원 월간 인권 인권영화 보고 나누기회차별 결과보고서
부록3 2023년 충남연구원월간 인권 인권영화 보고 나누기추가 프로그램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