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연구는 국내외의 장수 브랜드 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BI 디자인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충남의 지역성과 전통성을 반영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중앙정부의 백년가게 서울시의 오래가게 인천 이어가게 프랑스 미쉐린 가이드 일본 장수기업 정책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상징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디자인은 로고타입 워드마크 콤비네이션 마크의 3단계로 전개되며 전통 한옥 지붕 이미지와 충남 전용 색상을 활용해 시각적 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충남이어家는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충남의 가업승계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상징 브랜드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증현판은 고급 자재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해 가게의 자부심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 활용된다 나아가 인증기업에 대해 외관 개선 실내 인테리어 지원 등 물리적 환경 개선도 병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BI 디자인은 명칭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고 소비자와 사용자의 감성적 접근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브랜드의 시각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개별 업소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매뉴얼 체계도 마련되었다 또한 리뷰 플랫폼과 연계한 디지털 홍보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브랜드의 지속성과 소비자 접근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충남이어家는 가업승계 기업에 대한 단순한 행정적 지원을 넘어 지역 경제와 문화 관광 자원의 중심축으로서의 상징성을 갖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향후 이 브랜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온오프라인 연계 홍보전략이 필요하며 충남 고유의 장수 브랜드로서 전국적 인지도 제고가 기대된다
목차
제2장 일반현황
제3장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제4장 디자인 기본계획
제5장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강경연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3. 01. 05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1. 01. 01
2021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CNI세미나 2021-48) 2021. 12. 16
2022 상반기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 공무원 교육 2022. 06. 23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정진주
충청남도디자인아카데미 2024. 03. 18
공공디자인 지원 2024. 01. 04
공공건축 지원 2024. 01. 04
디자인 전문저널 발간 2022. 01. 20
충청남도 야간경관 명소화 사업 추진 전략과 과제 2024. 03. 01
충청남도 공동주택 경관심의 운영 매뉴얼 개발 2022. 07. 01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