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환경복지 연구회
연구회

환경복지 연구회

기간
2023. 02. 13 ~ 2023. 10. 31
연구책임자
명형남
연구자
오혜정,차정우,박현진,김정아,강마야,이도경,여형범
키워드
기후변화,건강정책,기후보건영향평가,대국민소통,정보이해력,취약계층,환경보건,질병관리
다운로드

2023년 환경복지연구회_충남의 기후위기와 건강 연속세미나(1차) 자료집(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23년 환경복지연구회_충남의 기후위기와 건강 연속세미나(2차) 자료집(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23년 환경복지연구회_충남의 기후위기와 건강 연속세미나(3차) 자료집(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세계보건기구는 기후위기를 보건위기로 규정하며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생명 보호에 있음을 강조했다 충남연구원은 이에 발맞춰 지역 차원의 기후보건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환경복지연구회 연속 세미나를 기획했다
제1차 세미나는 국내외 기후보건 정책 동향과 건강 리터러시 현황을 중심으로 열렸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지역 연구원 및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발표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건강정책 방향과 기후보건영향평가의 대국민 소통 방안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발표는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정책화하는 국내외 사례를 공유하며 정책 핵심은 질병 예방과 민감 계층 보호에 있음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는 질병관리청 주관으로 수행된 제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결과와 그에 대한 대중 홍보 콘텐츠 제작 사례를 소개했다
해당 평가결과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요약보고서 카드뉴스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었으며 국민의 기후보건 이해력 증진을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건강정보 접근성이 낮은 민감취약 계층을 위한 소통 전략이 요구되었다
국내 성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대한 걱정은 높지만 건강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고 관련 정보가 충분하다고 느끼는 비율도 30 수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기후보건 정보 이해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 홍보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보건복지부의 제5차 국민건강증진계획에는 기후변화성 질환 감시 예방수칙 홍보 교육 체계 수립 정보 공유 플랫폼 운영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충남 차원에서도 이에 준한 대응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향후 세미나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 맞춤형 보건정책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목차

I 서론 및 기후보건영향평가
II 제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결과 대국민 소통 콘텐츠 개발
1 요약보고서
2 발표슬라이드
3 카드뉴스
4 동영상
III 기후보건 정보이해력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