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유해화학물질 자발적 감축 민·관 협의체 구성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4-72]](img/kboard/kboard_attached/cni_m_data/RPMS/PROJ_RES/CO000019/202410/%ED%91%9C%EC%A7%802%284%29.jpg)
내용
국외에서는 EU의 그린딜 전략과 미국의 P2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유해화학물질 저감 정책으로 소개된다 EU는 Safe and Sustainable Chemicals 개념을 통해 화학물질 생산 전 과정에서 유해성 최소화를 추구하며 REACH CLP IED 개정 등으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오염 예방Pollution Prevention 중심의 전략으로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TRI와 함께 대체물질 사용 공정 개선 기술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PRTR과 SEMS를 기반으로 한 배출량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은 5년마다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 계획서는 배출현황 저감 목표 이행 실적 등을 포함하며 유해성과 배출량에 따라 1단계202024 2단계202529 3단계2030로 구분되어 적용된다 충남은 고배출 지역에 대한 맞춤형 저감 정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서산 대산산단의 민관 협의체 사례에서는 벤젠을 중심으로 10개 기업이 참여한 감축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LDAR 시스템 도입 TRI 정보 공개 ESG 보고서 발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감 노력이 전개되었다 울산 미포산단에서도 104억 원의 투자가 이뤄졌고 협의체를 통한 자율개선 활동으로 벤젠 농도가 53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
충남의 경우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해 배출량이 많고 독성이 높은 물질을 우선 선정하여 대체물질 개발과 방지시설 개선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 컨설턴트를 통한 기술지원과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협의체 운영이 요구된다 지역사회의 참여와 정보 공유를 통해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실질적 저감 효과를 유도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배출량이 높은 산업구조를 반영하여 단계별맞춤형 저감 전략을 수립하고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감축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 협의체 중심의 접근은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환경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향후 전국적 확산 가능성을 갖는 모델로 발전할 수 있다
목차
제2장 행사개요
제3장 세부일정
제4장 향후계획
발표 1 국내외 정책 및 동향
발표 2 충남지역 화학물질 배출현황 및 저감 방안
발표 3 지역협의체 운영사례 및 방안
부록 시군별업종별 배출현황 배출사업장 현황 관리자 교육 내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이지구
과학벨트 기능지구 기본계획 수립 관련자료 작성 - 천안시, 연기군 - 2011. 06. 27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활용방안 대토론회(이도학,이수진,최인호) 2015. 09. 11
충남 도시,산업 상생지구 발전 전략 2015. 04. 02
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 2011. 04. 27
제2종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 -산업형과 관광휴양형을 중심으로 2007. 01. 01
백제역사 유적지구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2015. 04. 20
-
김정아
충남의 인권영향평가 도입 방안 세미나(김정아,최은영) 2016. 06. 29
환경복지 연구회 2023. 02. 13
제5차 충청남도 환경계획(2022~2040) 수립 연구용역 2021. 07. 12
2019년 충남환경보건열린포럼 구성운영 2019. 05. 01
「2030 환경안전수도 천안」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2023. 01. 10
2023년 환경복지연구회 "충남의 기후변화와 건강" 연속세미나 3차(CNI세미나 2023-051) 2023. 09. 05
-
박현진
신도시 주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산림 사업 2018. 03. 01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충남 환경정책의 방향과 과제 2022. 03. 01
충남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시민과학 활용방안 연구 2021. 04. 01
지역단위 (가축분뇨)양분관리제 시범사업 2019. 05. 22
제5차 충청남도 환경계획(2022~2040) 수립 연구용역 2021. 07. 12
충남 환경교육도시 비전 추진을 위한 환경교육 연계 시민과학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2020. 02. 01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이다겸
저출생․초고령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관련 정책 추진실태 조사 및 분석 : 일자리 정책 구상 2024. 05. 28
충청남도 농축산분야 탄소중립 추진 기본 구상 2024. 03. 04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
충남 농정구조의 대전환을 위한 전략 연구 2024. 03. 11
-
이샘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충청남도 농촌공간 정비 대상 지역 현황 및 과제 2023. 03. 02
충남 탈플라스틱 실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농식품 소포장재 폐기물 제로화 방안 - 방울토마토 플라스틱 용기 중심으로 - 2021. 03. 01
충청남도 농촌공간 정비대상 분석 및 과제 2023. 02. 06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한 충남 농어촌 과소지역 활성화 전략 2022. 03. 14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
-
오혜정
2015 제1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청남도 생태하천복원사업 발전적 추진방안 모색'(오혜정) 2015. 03. 11
2017 충남 국제물포럼 [도랑에서 서해까지 3통하다] (CNI세미나2017-129) (오혜정,Gary Jone,주진철,김종신,Le Trinh,최충식,김성수,Yoshimura Kazunari) 2017. 10. 18
2015 세종충청포럼-금강의 환경보전과 발전방안(강민식,이재근,오혜정,배명순) 2015. 10. 07
제3차 공공투자연구포럼(오혜정) 2015. 06. 03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제4회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 세미나 (김선태, 조영탁) 2016. 0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