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
수탁

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

기간
2011. 10. 12 ~ 2012. 01. 09
연구책임자
김경태
연구자
김호연,강종원,이상준,권영현,박철희,임형빈,권미정
키워드
공주,문화생태지도,경제문화자원,산성시장,향토음식,국밥,공주국밥,전통시장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5장 경제문화자원 분포현황(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6장 지역주민 설문조사(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7장 시사점 및 정책제언(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1장 연구의 개요(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2장 문화자원 개괄(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3장 역사문화자원 분포현황(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제4장 문화예술자원 분포현황(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25_부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는 조선 후기까지 충청권의 상업 중심지이자 교통 요충지였으며 금강 수운을 기반으로 한 물류 거점으로 기능했음 일제강점기 이후 철도 확장과 수운 퇴조로 상권이 대전강경 등으로 이동하며 공주 상권은 위축되었고 소비지로 전환됨
산성동과 중동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은 과밀한 소규모 상가가 다수를 이루며 유동인구 감소와 도시 외곽 택지개발 영향으로 상업시설의 효율성도 낮은 실정임 산성전통시장은 공주의 대표시장으로 1937년 등록되었으며 이후 집단상가 형태로 변화해 현재까지 이어짐
산성시장은 총 1298개 점포와 약 2420명의 상인이 종사하며 식품 의류 외식 의약품 등 다양한 업종이 혼재해 있음 점포 대부분이 소형이고 상업활동은 중장년층이 주도하며 매출 감소와 시설 노후화로 개선 요구가 높음
공주는 밤 도토리 산채 등 지역 특산물을 기반으로 다양한 향토음식을 발전시켜 왔으며 대표 음식으로 공주국밥 들깨수제비칼국수 메기매운탕 참게탕 등이 있음 특히 공주국밥은 장터국밥의 전통을 이어온 음식으로 공주 대표 향토음식으로 자리잡음
장아찌 장류 전통주 등도 지역의 문화자원으로 활용되며 의당 손메주 김순남 장아찌 계룡백일주 등은 전통 방식 계승과 지역 브랜드화의 사례로 평가됨 도토리묵 밤음식 국물요리 등은 지역 식재료 기반의 대중성과 건강성을 강조하며 관광상품화 가능성도 높음
공주의 특산품은 정안 밤 통천포 배 도태랑 토마토 우성 오이 등 지역 환경과 전통농법을 기반으로 품질이 뛰어남 농업과 식문화의 연계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자원으로 활용이 기대되며 향토 자원의 보존 및 콘텐츠화가 주요 과제로 제시됨

목차

1 공주시 상권분포 현황
1 상권변천사
2 상권분포 현황
2 전통시장산성시장 분포 현황
1 개념 및 조사 대상
2 전통시장의 변천사
3 전통시장 주요시설
3 공주시 음식 문화 현황
1 음식문화 변천사
2 주요 향토음식
3 주요 농수산물
4 주요 음식점
5 특산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