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경제 선순환 개념이 필요하며 이는 생산된 부가가치가 분배와 소비 재투자로 이어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토대로 충남의 경제 순환구조를 분석하고 분공장 경제의 실태를 진단했다
산업연관표 분석 결과 충남은 전체 산업 중 약 78가 이출 중심이며 역내 산업과의 연계는 약하다 특히 분배 측면에서 소득 유출이 가장 심각하며 이는 수도권 본사 집중에 따른 구조적 문제로 확인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과제로는 본사 유치 전략이 제시되었고 이를 위해 기업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입지 요인으로 산업 집적 생활환경 우수 인재 확보 등이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기업도시 제도 등을 넘어서는 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해외 사례로는 일본과 영국이 검토되었으며 일본은 분공장 중심 지역에서도 본사 유치와 자금 재투자 전략을 통해 선순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영국은 글로벌 경쟁 속에서도 지역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외생적 산업유치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역내 내수시장 확대와 토착기업 육성 본사기능 유치 등을 통해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경제적 자립뿐 아니라 사회적생태적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이다
목차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차년도2012년 선행연구의 성과와 본 연구의 범위
Ⅱ 제2장 지역경제 선순환의 필요성과 개념
1 선순환의 필요성
2 선순환의 개념
3 선순환의 지역범위
Ⅲ 제3장 기존이론의 개관
1 분공장 경제 논쟁
2 내발적 발전론
Ⅳ 제4장 충남 경제의 순환구조와 분공장 경제의 실태
1 충남지역 경제의 순환 구조 분석
2 충남지역의 분공장 현황 및 실태
Ⅴ 제5장 분공장 경제 탈피의 과제
1 본사 입지의 필요성과 본사 입지 요인
2 본사 입지 관련 기업 설문 조사
3 법적 제도적 지원 방안
Ⅵ 제6장 해외 사례
1 영국
2 일본
Ⅶ 제7장 결론 및 정책과제
1 해외사례의 시사점
2 정책과제 역내 순환과 역외 교류의 균형적 발전
3 연구의 한계와 과제
부록 1 다多 지역간 분배 소득 배분 방법과제
부록 2 통계
부록 3 설문조사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창귀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지역경제 이슈발굴을 위한 미래전략연구 세미나(이종윤,홍원표) 2015. 02. 16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충남도 지역산업정책 전략 연구 2018. 01. 01
열린충남44호 2008. 09. 01
충남 시군단위 지역경제 순환 진단 위한 시군 산업연관표 작성 연구 2014. 02. 11
-
이동헌
2010 유니버설디자인 워크숍 2010. 12. 22
충남의 영상문화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지역영상미디어센터와 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2017. 02. 01
-
이민정
충남도 환경위해시설 과세실현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16) (정종필,이민정) 2017. 03. 17
미세먼지 관련 지자체 역할확대방안 모색 워크숍(홍수열, 이민정) 2016. 08. 08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2024 당진시 자동차산업 국제세미나 2024. 03. 25
-
박경
한일공동심포지엄'글로벌경제위기의 시대, 자율적 지역경제의 가능성을 묻다'(나카무라 코지로,오다 히로노부,박경,신동호) 2014. 03. 21
충청남도 R&D융복합지 조성을 위한 정책기획 워크숍(김현철,박경,이영훈,주대영,장철순) 2014. 09. 16
한국공간환경학회-충남연구원 공동 심포지움 (CNI세미나2018-039) 2018. 05. 18
분권화와 광역의회의 발전방안 (정연정,박재정,이영신,박경,최병학) 2006. 10. 26
열린충남39호 2007. 06.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