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2차)
수탁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2차)

기간
2012. 12. 03 ~ 2013. 10. 31
연구책임자
이상진
연구자
최승호,이관희,이경호,김억수,이동익,오국열,이택중,이병창,홍현미,이중호,나은경,박상현,허재영,양흥모,유진수,최병조,인치경,고승희,김홍수,김영일,정우혁,최정호,박상현,조병욱,문은호
키워드
금강정비사업,수환경모니터링,수질평가,생태계변화,하상변동,지하수수위,환경영향평가,유수이용현황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2차)_관리자_20160309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 모니터링 2차년도 보고서는 정비사업의 수질 및 생태계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다각적 조사를 바탕으로 개선 성과와 문제점을 종합 평가한 자료다 2013년 기준으로 금강 본류와 주요 지류 생물서식지 지하수 퇴적물 하상변화 유수이용 실태를 포함한 전방위적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수질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본류에서는 BOD TP 등 대부분 항목이 정비 전보다 낮아졌고 일부 구간에서는 수질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반면 지류하천에서는 수질 변화 폭이 작고 특정 지점에서는 탁도와 영양염류 증가가 나타나 정비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수생태계 조사 결과 조류와 어류의 종 다양성이 일부 구간에서 증가했으나 조류 대량 번식과 물고기 집단 폐사 사례도 보고되었다 특히 여름철 녹조 발생은 수온 상승과 정체수역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며 유속 저하 구간에서 심화되었다
하상 변화는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에서 모두 발생했으며 퇴적토 증가와 하상 저하상승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일부 지류에서는 역행침식이 관측되었고 이는 지형 안정성과 구조물 영향 분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지하수 수위는 보 설치 이후 상승 경향을 보였으며 하천변 대수층을 중심으로 연중 안정된 수위 유지가 관측되었다 지하수 모의 결과와 실측치는 유사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지표수와의 수리학적 상호작용 차이가 나타났다
총평으로는 금강 본류의 수질과 수생태 환경은 개선된 반면 일부 구간에서는 조류 번식과 퇴적 가속화 등 예상 외의 환경 변화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엔 비점오염원 관리 강화 유량 조절 계획 생물서식지 회복 프로그램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포함되었다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 과업의 목적 및 범위
과업의 목적
2차년도 과업의 기본방향
과업 기간
조사 범위
연구 추진경과
2 금강유역 일반현황
금강유역 현황
수계의 구성
주요시설물 현황
3 금강정비사업 개요
금강정비사업 주요내용
금강정비사업 구간
4 금강 모니터링의 필요성
연구배경
국가 수질 모니터링 체계
5 1차년도 연구 결과
수질 평가
생태계 변화관찰 결과
생태 모니터링 중요지점 발굴
하상변화 평가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6 2차년도 조사연구 방법
수질 모니터링
수변생태 모니터링
하상퇴적토 모니터링
지하수 모니터링
금강 중하류 유수이용 현황 평가
환경영향평가 관리방안 이행평가
제2장 수질 모니터링
1 금강 본류 수질 평가
수질평가 지점
사업 이전 수질
사업 이후 수질
전후 수질 비교 평가
상하류간 수질변화 평가
2 지류하천 모니터링
조사지점
사업 이전 수질
사업 이후 수질
전후 수질 비교
3 탁수발생 모니터링
4 조류 발생현황 평가
제3장 수생태 모니터링
1 생태계 변화관찰
2 조류어류 서식변화 실태 조사
3 물고기 집단폐사 사고
제4장 하상 모니터링
1 하상변동
2 보Weir
3 하상관리 계획 검토
4 하상변화 조사
5 지류하천 역행침식 조사
제5장 퇴적물 모니터링
제6장 지하수 수위 모니터링
제7장 중하류 유수이용 현황 평가
제8장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제9장 2차년도 모니터링 결과
제10장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