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2차)
수탁

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2차)

기간
2014. 12. 10 ~ 2015. 12. 09
연구책임자
이상진
연구자
오용준,정옥식,유학열,고승희,최병학,김영일,김종화,김경태,정우혁,최영화,장창석,신혜지,전민지
키워드
금강비전,금강유역,지속가능성,수자원관리,생태복원,주민참여,문화유산,통합계획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2차)_관리자_20160722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2차)_관리자_20160722_최종보고회 자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2차)_관리자_20160722_요약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금강유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보전 활용을 위해 금강비전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은 금강유역의 생태문화경제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자원 생태 문화 관광 농촌 지역개발 등 다부문을 통합 관리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비전은 생명과 문화가 살아있는 금강을 중심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6대 부문별 실행전략이 제시되었다 각 부문은 안전한 금강이수치수 건강한 금강물생태 창조의 금강콘텐츠역사문화 역동하는 금강관광농촌개발 함께하는 금강거버넌스 투자계획 등으로 구성된다
이수치수 부문에서는 농업용수 스마트관리 유역단위 홍수 통합대응 하굿둑보 재평가 등 수자원 활용과 재해 예방을 위한 구조적비구조적 대책이 포함된다 특히 ICT 기반 수자원 관리체계 구축과 빗물 활용 확대 방안이 강조된다
물환경과 생태 복원을 위한 사업으로는 하구 중심 통합유역관리 생태하천복원 멸종위기 어류와 조류 서식지 조성 외래종 관리 등이 있다 금강 보 및 하굿둑과 연계한 생태계 복원도 포함되며 통합 DB 구축과 모니터링 체계 마련이 병행된다
문화관광농촌 부문은 금강변 누정과 나루터 복원 금강 에코뮤지엄 조성 금강 체험관광지 개발 농어업 유산을 활용한 6차 산업화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경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한다 특히 생활문화와 지역공동체 기반 활성화 전략이 병행된다
이행을 위한 투자계획과 실행방안에는 주민참여 거버넌스 체계 구축 법제 기반 마련 교육홍보 평가관리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선도사업과 연차별 투자계획이 구체화되어 있으며 지역과 중앙정부 간 협업 체계를 통한 실행력을 확보하려는 방향이 설정되었다

목차

제Ⅰ편 현황분석과 기본구상
제1장 기본계획의 개요
제1절 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2 계획의 목적
제2절 계획의 범위
1 공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3 시간적 범위
4 과업기간
제3절 계획내용 및 추진체계
1 계획의 특성
2 계획의 접근방식
3 계획의 수행체계
4 계획의 추진경과
제2장 여건분석 및 기본구상
제1절 관련 계획 검토
제2절 여건변화와 전망
제3절 SWOT 분석 및 계획과제
제3장 현황 분석
제1절 입지 및 자연환경
제2절 인문환경
제3절 지역경제
제4절 관광
제5절 역사문화
제6절 환경생태
제7절 도로 및 교통
제8절 관련 조직
제Ⅱ편 부문별 추진계획
제1장 비전 부문 및 추진전략
제1절 비전체계도
제2절 부문별 추진전략
제2장 안전한 금강
Ⅰ 이수 분야
제1절 금강수계 수자원 이용의 다원화 및 근거리 용수체계 구축
제2절 농업용수 스마트관리 시스템 구축
제3절 유역 물 순환체계 구축과 수자원 지속가능성 개선
제4절 빗물 활용 확대를 통한 수자원 관리 효율화
Ⅱ 치수 분야
제1절 유역단위 홍수 통합대응 방안 구축
제2절 홍수위험지도 구축을 통한 홍수피해 예방
제3절 이치수시설 다기능화로 수자원 관리능력 강화
제4절 금강하굿둑금강보 재평가 및 운영체계 개선
제3장 건강한 금강
Ⅰ 물관리 분야
제1절 물환경 모니터링 및 DB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제2절 하구중심의 순응형 통합유역관리
제3절 유역특성을 반영한 생태하천복원
제4절 수변지역 보전 복원 관리
제5절 금강 보와 연계한 금강하구 생태복원
Ⅱ 생태 분야
제1절 조류 서식지 조성
제2절 멸종위기 어류 서식지 복원
제3절 논 습지 조성
제4절 외래종 관리
제5절 금강 에코뮤지엄 조성
제4장 창조의 금강
Ⅰ 콘텐츠 분야
제1절 금강 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
제2절 금강 문화유산의 세계화 추진
Ⅱ 역사문화 분야
제1절 금강변 옛 포구 나루터 정자누정 복원
제2절 금강의 역사문화유산 조사 및 지원
Ⅲ 생활문화 분야
제1절 금강의 생활문화 복원 및 활성화
제2절 금강의 문화예술 창작활동 강화
제5장 역동하는 금강
Ⅰ 관광 분야
제1절 금강권 체험마을 네트워크 상품개발
제2절 금강을 활용한 축제 발전 및 계승
제3절 수변 레저스포츠 및 체험 관광지 조성
Ⅱ 농업농촌 분야
제1절 금강 목장화를 통한 지천 100리 지역브랜드화
제2절 금강유역 농어업 유산을 활용한 6차산업화
제3절 금강유역 시군의 귀농귀촌 유치
제4절 적벽강권역의 상생발전계획 수립
Ⅲ 지역개발 분야
제1절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제2절 장항 오염토지 재이용
제3절 금강유역 역사문화지 복원 및 재생
제6장 함께하는 금강
Ⅰ 주민참여 거버넌스 분야
제1절 주민참여형 모니터링 운영
제2절 주민자치사업 연계프로그램 개발
제3절 역량강화 학습프로그램 발굴 운영
제4절 금강유역 상생거버넌스 체계 구축
제5절 사업추진 관련 지식정보제공의 고도화
Ⅱ 제도 및 법적지원 분야
제1절 추진 TF팀 구성운영
제2절 관련 지원조례 제정
제3절 홍보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제4절 평가관리 및 컨설팅코칭 시스템 구축
제7장 의견조사 및 선도사업
제1절 의견조사의 범위 및 주요 내용
제2절 조사설계 및 AHP결과
제3절 AHP 분석 결과
제4절 설문 분석 결과
제5절 선도사업
제8장 투자사업계획 및 집행방안
제1절 기본방향 및 원칙
제2절 투자계획
제3절 재원조달계획
제4절 집행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