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1 필요성과 목적
공공외교법20168 제정 등 지방외교에 대한 고민이 중앙 및 지방 차원에서 활발해지고 있다 충남은 지금 공공외교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은 광역지자체장 민선이 시작된 1995년 이래로 지난 20년 간 큰 변화를 겪었는데 이에 상응한 국제교류와 협력 방면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즉 지방공공외교를 시대 변화의 관점에서 현 단계 충남의 공공외교를 재해석 재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공공외교를 둘러싼 혼선에 대한 실질적 해답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시대적 전환의 관점에서 충남의 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1990년대 이래의 글로벌 변화 및 충남의 위상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외교전략 이 필요함을 입증하고 충남의 글로벌 위상 변화라는 시각에서 충남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 단계 충남 지방외교의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며 더 나아가 전략 구현을 위한 주요 정책방향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생략
공공외교법20168 제정 등 지방외교에 대한 고민이 중앙 및 지방 차원에서 활발해지고 있다 충남은 지금 공공외교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은 광역지자체장 민선이 시작된 1995년 이래로 지난 20년 간 큰 변화를 겪었는데 이에 상응한 국제교류와 협력 방면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즉 지방공공외교를 시대 변화의 관점에서 현 단계 충남의 공공외교를 재해석 재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공공외교를 둘러싼 혼선에 대한 실질적 해답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시대적 전환의 관점에서 충남의 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1990년대 이래의 글로벌 변화 및 충남의 위상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외교전략 이 필요함을 입증하고 충남의 글로벌 위상 변화라는 시각에서 충남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 단계 충남 지방외교의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며 더 나아가 전략 구현을 위한 주요 정책방향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2 선행 연구의 검토 2
1 지방외교 성격에 관한 이론적 검토 2
2 지자체 관련 전략 연구 3
3 충남 지방외교 연구 4
3 연구 방법 5
1 연구 방법 5
2 분석 방법 6
3 연구의 흐름 6
제2장 지방공공외교 지형의 전환 8
1 지방공공외교의 정의와 범위 8
1 지방공공외교는 지방의 공공 부문이 행하는 외교 8
2 외교주체의 다원화 외교방식의 다양화 10
3 내용적으로 친선 교류협력 통상지원 국제화 남북교류로 대별 11
4 지방공공외교의 고유성에 대한 논쟁 12
5 지방공공외교 목표의 모호함에 따른 지방공공외교의 격하 14
2 지방공공외교를 둘러싼 환경 변화 15
1 냉전해체에 따른 지방의 국제무대 등장 15
2 신흥국의 근대화 물결이 가져온 산업화도시화 16
3 신자유주의에 의한 지방정책시장 형성 17
3 환경변화에 대한 민간과 공공의 대응 19
1 글로벌 기업들의 공공인프라 시장 진입 19
2 도시지역공공정부 차원의 해외시장참여 21
3 국제기구의 대응 22
4 우리나라 공공외교의 전환 24
1 우리나라 국제적 위상의 전환 24
2 지방정부의 외교 드라이브 26
제3장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현황과 문제점 27
1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변천과정 27
1 친선에서 통상으로 외교 중심 이동 27
2 협력실에서 통상실과로 주무부서 이동 28
3 구미에서 동아시아로 지역 집중 31
2 국내외 지자체의 새로운 공공외교 움직임 34
1 외국의 정책 교류수출 사례 35
2 국내 타 지자체의 정책 교류수출 사례 37
3 대외협력관계 정비 노력 41
3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문제점 44
1 공공외교의 전략적 관점 미약 44
2 공공외교의 통상 편중 45
3 국제교류관계를 둘러싼 혼선 48
4 교류 콘텐츠 미비 53
제 4장 충남 공공외교의 정책 외교로의 전환 55
1 충남 공공외교의 비전 55
1 충남의 글로벌 위상 변화에 걸맞은 공공외교 55
2 충남의 미래발전전략과 시너지를 일으키는 공공외교 56
2 충남 지방공공외교 30 핵심 전략 57
1 충남 공공외교의 전략화 57
2 충남 정책콘텐츠의 국제화 59
3 충남의 국제협력 세력화 60
3 지방공공외교 30의 주요 정책 61
1 충남 공공외교 기본계획 수립 61
2 정책 노하우의 국제연수프로그램화 62
3 가칭 아시아 신흥공업지역 지자체연합 구축 64
4 지방공공외교 30 추진체계 67
1 가칭 글로벌 충남 추진단 설립 67
2 통상 기능과 국제 교류협력 기능의 분리 운영 68
3 충남 도와 시군 간 협력체 구성 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71
1 연구 내용 요약 71
2 정책 제언 72
3 연구의 의의 한계와 개선점 73
참고문헌 75
부 록 77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2 선행 연구의 검토 2
1 지방외교 성격에 관한 이론적 검토 2
2 지자체 관련 전략 연구 3
3 충남 지방외교 연구 4
3 연구 방법 5
1 연구 방법 5
2 분석 방법 6
3 연구의 흐름 6
제2장 지방공공외교 지형의 전환 8
1 지방공공외교의 정의와 범위 8
1 지방공공외교는 지방의 공공 부문이 행하는 외교 8
2 외교주체의 다원화 외교방식의 다양화 10
3 내용적으로 친선 교류협력 통상지원 국제화 남북교류로 대별 11
4 지방공공외교의 고유성에 대한 논쟁 12
5 지방공공외교 목표의 모호함에 따른 지방공공외교의 격하 14
2 지방공공외교를 둘러싼 환경 변화 15
1 냉전해체에 따른 지방의 국제무대 등장 15
2 신흥국의 근대화 물결이 가져온 산업화도시화 16
3 신자유주의에 의한 지방정책시장 형성 17
3 환경변화에 대한 민간과 공공의 대응 19
1 글로벌 기업들의 공공인프라 시장 진입 19
2 도시지역공공정부 차원의 해외시장참여 21
3 국제기구의 대응 22
4 우리나라 공공외교의 전환 24
1 우리나라 국제적 위상의 전환 24
2 지방정부의 외교 드라이브 26
제3장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현황과 문제점 27
1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변천과정 27
1 친선에서 통상으로 외교 중심 이동 27
2 협력실에서 통상실과로 주무부서 이동 28
3 구미에서 동아시아로 지역 집중 31
2 국내외 지자체의 새로운 공공외교 움직임 34
1 외국의 정책 교류수출 사례 35
2 국내 타 지자체의 정책 교류수출 사례 37
3 대외협력관계 정비 노력 41
3 충남 지방공공외교의 문제점 44
1 공공외교의 전략적 관점 미약 44
2 공공외교의 통상 편중 45
3 국제교류관계를 둘러싼 혼선 48
4 교류 콘텐츠 미비 53
제 4장 충남 공공외교의 정책 외교로의 전환 55
1 충남 공공외교의 비전 55
1 충남의 글로벌 위상 변화에 걸맞은 공공외교 55
2 충남의 미래발전전략과 시너지를 일으키는 공공외교 56
2 충남 지방공공외교 30 핵심 전략 57
1 충남 공공외교의 전략화 57
2 충남 정책콘텐츠의 국제화 59
3 충남의 국제협력 세력화 60
3 지방공공외교 30의 주요 정책 61
1 충남 공공외교 기본계획 수립 61
2 정책 노하우의 국제연수프로그램화 62
3 가칭 아시아 신흥공업지역 지자체연합 구축 64
4 지방공공외교 30 추진체계 67
1 가칭 글로벌 충남 추진단 설립 67
2 통상 기능과 국제 교류협력 기능의 분리 운영 68
3 충남 도와 시군 간 협력체 구성 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71
1 연구 내용 요약 71
2 정책 제언 72
3 연구의 의의 한계와 개선점 73
참고문헌 75
부 록 77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
-
강수현
상암동 연료전지 발전설비 견학 및 관계자 워크숍 2015. 07. 24
온라인쇼핑거래 확대가 충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23. 08. 14
2021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2. 02. 2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중국인 입국관광객 충남 유치전략 2014. 10. 06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선택형직불 확대방안 2020.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