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수립 용역
수탁

충청남도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수립 용역

기간
2016. 07. 05 ~ 2016. 12. 31
연구책임자
박경철
연구자
조영재,김종화,강마야,김기흥,정지인,김정하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0 식생활교육에 관한 정부 정책과 민관 활동 동향 파악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차원의 식생활교육 정책 동향 파악
국내외 식생활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충남도에 적용 방안 모색

0 충남도민의 식생활과 식생활교육에 대한 정확한 실태와 문제점 파악
충남도민의 건강 식생활 식생활교육에 관한 정확한 실태 파악
특히 학교와 농촌체험학습장에서의 식생활교육 실시 현황과 문제점 파악

0 충남도민의 바른 식생활문화 정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비전과 전략 제시

도민의 바른 식생활 문화의 정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올바른 정책 비전과 전략 그리고 사업 방향 제시
특히 충남도 도 농업기술원 도 교육청 식생활교육충남네트워크 등 그동안 각 기관별로 진행된 사업들을 아울러 통합적인 식생활교육 추진 로드맵 제시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4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제4절 연구 추진체계 및 과정 5
1 연구 추진체계 5
2 연구 추진 과정 7
제5절 기대 효과 9
제2장 식생활교육의 여건 변화
제1절 정책변화 10
1 상위계획 제1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20092014 10
2 상위계획 제2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20152019 12
3 농업 및 식품정책 계획 13
제2절 환경변화 14
1 영양과잉과 남용 14
2 식품안전성 문제 17
3 친환경 자연주의로의 회귀 19
4 쌀 소비 감소로 인한 농민의 어려움 가중 20
제3절 국내외 식생활교육 트렌드 변화 21
1 교육 내용의 변화 21
2 교육 방법의 변화 21
3 교육 대상의 변화 21
4 국외 식생활교육의 변화 22
제3장 충남도 식생활교육 현황
제1절 정책 현황 30
1 충남도 농정국 30
2 농업기술원 31
3 충남도교육청 33
4 충남영양교육연구회 34
5 사식생활교육충남네트워크 35
6 충청남도 식생활교육 지정 대학 36
7 우수 식생활교육 체험 공간 식생활교육 현황 37
8 각 시군 식생활교육 현황 40
제2절 부분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현황 42
1 가정 식생활교육 현황 42
2 학교 식생활교육 현황 42
3 지역사회 식생활교육 현황 로컬푸드 도농교류 등 46
4 기타 식생활교육 현황 각급 보건소 공공기관 등 48
제3절 충남 식생활교육 현황 및 의견 분석 50
1 도시민의 식생활교육에 관한 현황 및 의견 분석 50
2 농어촌체험학습장의 식생활교육 현황 및 의견 분석 59
3 종합 분석 및 계획과제 도출 66
제4장 충남도 식생활교육 기본 방향과 세부 실천과제
제1절 SWOT 분석 및 계획과제 70
1 SWOT 분석 70
2 계획과제 도출 74
제2절 비전과 목표 75
1 비전 75
2 핵심 가치 75
3 목표 76
4 전략 76
5 전략별 세부 추진 과제 77
제5장 전략별 추진 과제
제1절 바른 식생활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식생활교육 기반 구축 80
1 바른 식생활 소비습관 실천연속 80
2 생애주기별 식생활 교육신규 81
3 농어촌 인성학교 식생활교육프로그램 강화신규 82
4 농산촌유학 마을 육성 및 바른 식생활 프로그램 운영신규 83
5 가족밥상 함께하기사업명가족과 함께 식사해유실천 운동신규 84
6 푸드 마일리지 줄이기 캠페인신규 85
제2절 食農의 이해 및 가치 증진을 위한 학교지역 간 협력 강화 86
1 옴니채널 활용을 통한 도농교류 강화신규 86
2 도시근교 주말농장 및 도시텃밭 프로그램 운영연속 88
3 아파트숲속 논 만들기 확대연속 89
4 충청남도 마을만들기 및 미더유연계 바른식문화운동 전개신규 90
5 학교로 찾아가는 우리농부 선생님연속 91
제3절 먹거리인권과 복지 증진을 위한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확대 91
1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강화연속 91
2 저소득 고령자아동 대상 푸드스탬프 제도 운영신규 92
3 식품 알레르기 대응체계 구축신규 93
4 GMO 교육 전담강사 양성 및 교육신규 95
5 소외지역 학교 식생활교육 학습장 시설 지원신규 96
제4절 지역 고유의 전통 식문화 발굴 및 계승 발전 97
1 지역 향토음식 개발 및 전수연속 97
2 지역자원 연계 향토음식 관광 네트워크 구축연속 98
3 지역 토종농산물 홍보 및 음식 개발신규 99
제5절 식생활 개선을 위한 홍보 및 食農거버넌스 구축 100
1 충남 영양식생활 교육교재 보급 및 활용연속 100
2 로컬푸드와 연계한 식생활교육 식재료 조달체계구축신규 101
3 농어촌 먹거리 마을사업 관련 인력 교육 강화신규 102
4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강화연속 103
5 로컬푸드 아카데미 확대 운영연속 104
6 가칭식생활교육충남위원회 운영신규 104
제6장 식생활교육 실천 로드맵
제1절 부문별 투자계획 로드맵 108
1 바른 식생활과 식습과 개선을 위한 식생활교육 기반 구축 108
2 食農의 이해 및 가치 증진을 위한 학교지역 간 협력 강화 109
3 먹거리인권과 복지 증진을 위한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확대 110
4 지역 고유의 전통 식문화 발굴 및 계승발전 110
5 식생활 개선을 위한 홍보 및 食農거버넌스 구축 111
6 전략별연도별 투융자 계획안20162017 111
제2절 기간별 실천 로드맵 112
제3절 추진체계 로드맵 112
1 식생활교육 전담 부서 설치 112
2 가칭식생활교육충남위원회 설치 및 운영 114
3 식생활교육 추진 체계도 116
부록 118
Ⅰ 보고회 자료 118
Ⅱ 현장 조사 125
Ⅲ 설문 조사 147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