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부가서비스>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 검색
검색
새로고침
정렬

기간

범위

원문공개
(다운로드)

보고서 (2,666)

더보기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청남도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추진 마을의 실태 및 정책과제

1 배경 및 목적 충청남도에서는 2012년부터 주민주도의 내발적 발전의 모델로 충청남도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이하 충청남도 마을만들기를 추진 중에 있으며 마을역량의 유형에 따라 일반마을 새싹마을 열매마을로 구분하여 단계별 마을만들기를 추진중에 있다 2012년 이후 2015년까지 700여개의 마을이 새롭게 발굴되고 육성되었다 충청남도가 마을만들기를 추진한지 5년차에 접어드는 현시점에서 볼 때 충청남도 마을만들기를 통하여 발굴되고 육성된 마을에 대한 중간 실태점검이 요구된다고 할 수

연구책임자 : 조영재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원도심 상권의 이용자 행태와 소비지출액에 대한 실증분석, Empirical Testing on User Behavior and Consumption Expenditure on Downtown Commercial Supremacy; Focused on Asan City

본 연구는 원도심 재생을 위해 중요한 것이 상권 활성화이며 상권 활성화를 위한 첫 단계는 원도심 상권 이용자의 행태특성를 보다 명확히 분석하고 이들이 원도심 상권에서보다 많은 소비지출액을 유도하는 것이라는 판단에서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해서는 원도심 상권 이용자의 개인적속성과 이용자행태 그리고 소비지출액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졌으며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아산 시민의 일상적인 쇼핑 문화활동 에 있어 원도심을 이용하는 경우가 477로가장 많았지만 인

연구책임자 : 임준홍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청남도 연안역의 기후변화 적응방안 연구(해수면상승 대책을 중심으로)

충남 연안지역은 주거 및 산업 기반이 집중된 공간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폭풍해일 집중호우 등의 위협에 점차 더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륙 저지대에 위치한 도시들은 태풍과 조위 효과가 겹칠 경우 침수위험이 배가되며 기존 연안 구조물은 미래 기후 조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설계되어 취약하다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뿐 아니라 해수온도 상승 연안 유출 증가 해양산성화 등 다양한 해양환경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생태계 변화뿐 아니라 재산피해 관광산업 위축 식수오염 등

연구책임자 : 윤종주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남 도로부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교통정책 방안

충남은 일부 시군을 중심으로 도로이동오염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수준이며 특히 서산 당진 아산 천안 지역은 화물차 통행량이 많아 환경성과 건강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이 크다 고령화가 가속되는 상황에서 교통환경 개선은 도민 삶의 질과 직결된다도로부문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두 가지 전략이 제시되었다 첫째는 통행행태를 바꾸는 배출량 저감 유도 전략으로 공해차량 운행제한지역LEZ 시가지 우회도로 구축 교통수요관리 방안이 포함된다 둘째는 차량 자체의 배출오염원을 줄이는 배출오염원 저

연구책임자 : 김형철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청남도 생활인프라 구축실태 및 정책과제

생활인프라는 주민이 자고 먹고 일하고 쉬는 일상 전반에 필요한 기반시설로 도민 행복추구권 실현의 기초 조건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구저성장과 고령화 시대를 맞이해 충청남도는 기존 공급실태를 진단하고 효율적이고 형평성 있는 생활인프라 공급 전략이 필요해졌다연구는 보육복지시설을 제외한 공원 교통 보건의료 문화 체육시설 등 5대 생활인프라를 중심으로 공간적 분포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공원시설의 경우 지정만 하고 개발하지 않은 비율이 높았고 서해안권과 금강권 일부 지역의

연구책임자 : 오용준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베트남 유기농업의 생산자 소비자 연대 사례와 그 시사점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식품안전에 관한 관심과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유기농업 실천 농민들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유기농산물 인증제도를 대신하여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연대를 모색하고 있는 베트남 유기농업 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이를 위해 우선 유기농업이 단순히 화학비료와 합성농약을 쓰지 않는 농법의 하나라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라 환경부하를 줄이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개념으로서 지역환경보전과 안전한 먹거리 생산을 위해 공동체 유지의 기능을

연구책임자 : 김기흥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ing Priority of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duct appropriate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For these purposes I reviewed on the policies of elderlyfriendly in traditional market in Korea and Japan and made questionare on the introducing priority of elderlyfriendly communit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남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충남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의 약 64는 차도 폭 9m 미만의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며 치사율은 전국 평균보다 약 195배 높은 41명100건으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생활도로는 보행자가 주로 이용하는 공간이지만 차량 중심의 정책으로 인해 보행 안전과 쾌적성이 저하된 상태다생활도로의 안전 확보를 위해 생활존Zone 30 개념을 적용하고 보행자 중심의 교통환경을 조성하는 전략이 제시되었다 생활존은 초등학교 반경 1km 내외로 설정하며 속도 규제와 통과 차량 제한을 통해 안전성을 높인다 교통규제

연구책임자 : 김원철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상생산업단지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도입방안

충남에는 총 142개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도심과 단절되고 환경적으로 낙후된 상태다 산업단지의 미관 재창조와 정체성 있는 친환경 공공시설물 개발이 요구되며 주거와 산업이 공존하는 복합생활공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본 연구는 산업단지에 공공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주민과 근로자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문화휴식 공간 창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천안 일반산업단지와 공주 장기농공단지를 대상으로 현황 분석과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분석 결

연구책임자 : 이충훈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전통장류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분석 - 대전소비자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Consumer's Satisfac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Products - Focusing on Deajeon's Consum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consumers satisfaction by purchasing farmers processed food So this paper surveyed consumers which have purchased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products by reason of limiting research objects among lots of farmers processed food A survey

연구책임자 : 김종화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공동체의 사회적경제활동이 주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인식과 행복의 영향관계 분석 ;충청남도 마을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공동체활동을 수행하는 주민들의 시각에서 실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 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공동체인식의 어떠한 부분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영향분석을 위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적차원 정부행정차원 생활환경차원으로 구분하였고 공동체인식 요인은 공동체성과 공동체역량인식으로 구성하여 공동체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대상은 실제 공동체활동을 수행하는 마을기업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인적차원의 결과

연구책임자 : 전지훈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기본

뿌리기업의 특성과 기술개발활동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 -충청권 4개 시․도 기업을 중심으로

뿌리산업이란 나무뿌리처럼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형성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산업을 의미 하며 국내 주력산업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산업으로써 전방수요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그러나 뿌리기업은 구조적으로 대기업에 종속적이며 정책적 지원과 대기업의 상생노력없이 성장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뿌리산업의 기술개발 활동이 뿌리산업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기술개발활동 방안과 정책지원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자료는 2013년 충청권 뿌리산업 실태조사 자료이며 충청권 4개 시 도

연구책임자 : 김양중 2016. 01. 0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청남도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일자리 정책의 과제

충청남도는 북부권 산업지역과 중남부 농어업지역으로 노동시장이 뚜렷하게 권역화되어 있으며 지역 간 고용구조의 이질성이 존재한다 북부권은 제조업 중심으로 양질의 임금노동 일자리가 많고 남부권은 농업 중심으로 무급 가족종사자와 저임금 노동이 주를 이룬다기존 지역일자리정책은 중앙정부 중심의 하향식 방식으로 추진되어 지역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으며 산업 중심 일자리 전략과 노동시장 수요 미스매치 문제가 지속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 맞춤형 고용전략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북부권은 자동차부

연구책임자 : 이상호 2015. 12. 2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남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제도 연구

충남은 국가 전체 화력발전량의 절반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전력의 23는 외부로 송출되지만 오염 송전 피해 물 부족 등 환경적 피해는 주민이 감내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공급 중심 에너지 정책은 지역의 불균형과 부정의를 초래했으며 이에 따라 충남의 에너지 전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RPS 제도는 대형 발전사에게 일정 비율의 재생에너지 생산을 의무화하는 제도로 충남은 대형 발전사 밀집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활용해 자발적인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2024년까지 충남에서만 5488MW의 재생에너

연구책임자 : 황순원 2015. 12. 21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사회서비스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가족복지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은 양적 확대 중심에서 질적 효율성과 통합적 전달체계 설계로 전환되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여전히 전담기구 설계나 인력 배치에 집중되어 있으며 정책법제도 수준의 전달체계 설계는 미비하다 가족복지 분야는 특히 사회복지사업법상 명확한 포괄을 받지 못해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가족서비스는 다문화가족지원법과 한부모가족지원법은 사회복지사업법에 포함되나 건강가정기본법은 누락되어 있어 통합전달체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가정기본법의 사회복지사업법 포함과 관련 법률의 통합 및 개

연구책임자 : 이진 2015. 12. 21

보고서>연구보고서>현안

충남 송전선로 주변지역 전수조사 결과 분석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내 송전선로 인근 지역의 사회경제적 실태를 전수조사하여 기존 송전선로에 대한 피해보상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조사 대상은 15개 시군 190개 읍면동 848개 리이며 전압별 보상구역154kV 345kV 765kV을 기준으로 토지이용 인구 건축물 영농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충남 전체 면적의 약 18에 해당하는 14만 8천 헥타르의 토지가 송전선로 인근에 포함되어 있고 19만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토지이용 현황에서는 임야가 가장 많

연구책임자 : 이인희 2015. 12. 18

보고서>연구보고서>현안

농식품부의 정책 전환에 대응한 충청남도의 효율적인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추진방안

본 보고서는 농식품부의 정책 전환에 따른 충청남도의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추진방안을 다룬다 기존 읍면소재지 정비사업을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주민의 생활편의 증진과 배후 농촌지역의 연계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방향이 요구되었다 농촌중심지는 행정 문화 교육 복지 등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며 주변 마을과의 통합적 발전을 이끄는 거점으로 설정된다충남의 추진 실태를 보면 계획수립 단계에서 주민 참여가 형식적으로 진행되거나 추진위원회의 과도한 권한 행사 추진주체 간 역할 혼선 등으로 사업

연구책임자 : 김정연 2015. 12. 17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남 시군 농촌지도사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정책과제 도출-홍성군사례를 중심으로

농업기술센터는 농업기술 보급 농업인 교육 후계농 육성 등의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농업 비중 감소와 농가 고령화 기술사회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기능 재정립이 요구된다 특히 농촌지도사업은 중앙과 지역 농업인과 비농업인을 매개하는 중간조직으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할 시점이다농촌지도사업은 초기 식량증산 중심에서 6차 산업화 고부가가치화 과학기술 접목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단순 기술 보급을 넘어 경영개선 창업지원 주민 역량 강화 등으로 기능이 다양화되었다 현재는 농업 외 분야와의 협업 I

연구책임자 : 서윤정 2015. 12. 15

보고서>연구보고서>전략

충남도내 지방의료원 경영개선 방안 연구

충남도 내 4개 지방의료원 중 서산의료원을 제외한 나머지 병원은 2014년 기준 모두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기능 수행과 재무건전성 간 균형 확보가 과제로 지적된다 진주의료원 폐쇄 사례 이후 공공성과 재무성과 간 조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충남도는 의료원장 책임경영제 운영 투명성 강화 미충족 서비스 중심 예산 지원 등 운영 효율화 및 공익 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진 확보 예산 연계 평가체계 공공보건의료 추진 기반 확보 등에서는 여전히 미흡한 점이

연구책임자 : 강은정 2015. 12. 15

보고서>연구보고서>현안

2016년 예산서 표지디자인

2016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서 표지 디자인

연구책임자 : 권영현 2015. 12. 1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