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투자 대상은 의료세탁업체로 총 투자금액은 약 100억 원이며 신규 고용은 100명이다 건설효과는 기업이 설비 구축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에서 발생하는 단기 효과로 이로 인해 계룡시 내에서 약 122억 원의 생산유발 51억 원의 부가가치 138명의 고용이 유발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국적으로는 총 283억 원의 생산 약 100억 원의 부가가치 182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생산효과는 기업이 계룡시에서 생산활동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이다 계룡시에만 국한된 분석에서 연간 약 97억 원의 생산 69억 원의 부가가치 100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건설효과가 종료되면 해당 지역의 경제적 기여도는 사라지지만 생산효과는 기업이 계속 운영되는 한 지속적으로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기업 유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는 단순 건설이 아닌 생산활동에 있음을 정책적 고려사항으로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번 분석은 해당 기업의 투자계획이 100 집행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졌으며 실제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후속 실사 및 점검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실사자료는 정책결정 시 보다 현실적이고 신뢰성 있는 판단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계룡시의 기업 유치는 단기적으로는 건설효과를 통해 광역적 파급효과를 발생시키며 장기적으로는 고용과 생산의 지속적 증가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목차
02 지역 내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구분
03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종윤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지역경제 이슈발굴을 위한 미래전략연구 세미나(이종윤,홍원표) 2015. 02. 16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중부대학교 이전의 효과분석 (임재영,이종윤) 2013. 09. 04
2016년 제4차 공공투자연구포럼 2016. 08. 05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
이세구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충남 재정보전금의 재정형평화 기능 제고방안 2012. 01. 01
충청권 경제모형 구축연구 II: 충청 광역경제권의 전략산업간 연계구조 분석 2009. 01. 01
충청권 경제모형 구축연구Ⅰ: 충청권 경제구조 분석을 위한 다지역 사회회계행렬(MRSAM) 구축 2008. 01. 01
충청남도 사업예산제도의 성과관리 강화방안 2017.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