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정책지도 제 27호) 노인복지 시리즈 2: 충남 취약노인의 생활 SOC접근성 분석
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 정책지도 제 27호) 노인복지 시리즈 2: 충남 취약노인의 생활 SOC접근성 분석

기간
2019. 06. 24 ~ 2019. 07. 22
연구자
최돈정,유무상
키워드
독거노인,접근성,충청남도,생활인프라,안전센터,보건소,병의원,경로당
다운로드

복지2편_책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의 독거노인 91903명을 대상으로 안전센터 병의원 보건소 경로당 등 기초생활시설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안전센터 기준 접근 취약 노인은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의원 접근성은 차량 10분 거리 기준으로 127가 취약군으로 분류되며 시군 경계나 격오지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비중이 높았다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건소 접근성은 평균 거리 16km를 기준으로 분석했으며 전체의 458가 취약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령시와 천안시 일부 읍면동은 100 취약으로 신설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로당은 직선거리 400m 이내 접근 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했고 216가 취약군으로 분류되었다 경로당은 커뮤니티 기능과 재난 시 피난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종합적으로 3개 이상 인프라 접근성이 취약한 독거노인은 전체의 134이며 특히 태안군과 청양군 보령시 등에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정책 제언으로는 소방본부와의 독거노인 정보 공유 격오지 대상 의료서비스 확대 보건소 신설 경로당 설치 확대 등 시설과 정보의 공간적 형평성 확보를 위한 행정적 대응이 요구되었다

목차

1 안전센터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 수의 공간적 분포
2 전체 독거노인 중 안전센터 접근 취약 노인 비중
3 병의원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 수의 공간적 분포
4 전체 독거노인 중 병의원 접근 취약 노인 비중
5 보건소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6 전체 독거노인 중 보건소 접근 취약 노인 비중
7 경로당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8 전체 독거노인 중 경로당 접근 취약 노인 비중
9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10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 비중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