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남도는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으로 탈석탄 신재생에너지 확대 대기질 개선 기후시민 참여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29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조림 바다숲 조성 탄소포인트제 등 흡수원 확충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도 병행하고 있다 정책 이행의 객관적 지표 설정과 정량적 평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강원도와 광주시 대전시 등 타 지자체의 사례도 소개되었으며 기후변화대응 전문연구기관 설립 신재생에너지 정책 포럼 탄소배출권 확보 인프라 구축 기후친화 도시공간 조성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광주는 광주온도 1 낮추기 프로젝트 탄소은행제 녹색아파트 조성사업 등 생활밀착형 정책을 통해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해서는 폭염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 물순환 교통 주거 공원 등 다양한 부문별 세부 전략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도로에는 쿨링클린로드 시스템을 도입하고 건축물에는 차열 공법 옥상 및 벽면 녹화를 통해 열섬현상을 완화하며 공원 내 물순환 설비와 녹지 조성으로 기후안정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조치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함께 기대할 수 있다
각종 기술적 수단의 적용 효과도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쿨루프는 표면온도를 33 실내온도를 3까지 낮추며 냉방에너지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각각 20 6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쿨페이브먼트는 도로 표면온도를 최대 17 낮추고 조명비용을 절감하며 벽면녹화는 도시경관 개선과 함께 냉방에너지를 약 17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되었다
국외 사례로는 유럽의 그린인프라 전략과 미국 일본 호주의 열섬 완화 기술 적용 사례가 소개되었다 도시계획과 연계한 쿨루프 옥상벽면 녹화 투수성 포장 바람길 조성 등이 주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교 정류장 보육시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실증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향후 충남 및 국내 지자체의 정책 수립과 실행에 참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제시되었다
목차
충청남도 기후비상상황 정책전환 방향
지자체 기후변화 대응 추진사례
국가기후변화적응 사업사례
종합토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
시민참여 온실가스 감축정책
탄소배출권 인프라 구축
신재생에너지 정책 활성화
전문연구기관 운영
국제사회 협력 사례
기후변화 적응사업
폭염 대응 가이드
기후변화 대응사업 및 기술
도시 탄소관리 시스템 구축
기후환경 통합 DB 구축
광역시 사례 강원도 광주 대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수향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11) 2021. 06. 04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제13호 2017. 07. 31
충청남도 2019~2020년도 녹색성장 계획 이행평가 2020. 10. 01
충청남도 기후위기대응 인식도 조사 2021. 05. 01
2020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0. 01. 01
-
정석한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1. 16
충청남도 미세먼지 저감 시책발굴 2019. 03. 01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4. 05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12. 31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지정을 위한 석유화학단지 영향 분석 용역 2019. 10. 25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8. 08. 03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
이상우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 제43호제43호 2024. 12. 01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4. 04. 01
충남해역 침적해양쓰레기 분포현황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3-070) 2023. 11. 17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일본) 2023. 11. 19
2023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3. 01. 01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
-
김종범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대응관련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33) 2021. 11. 02
-
김아람
(CNI세미나 2025-39) 정부-지자체 출연기관간 대기분야 연구교류 세미나 2025. 07. 02
충남기후정보브리핑 48호 2020. 12. 15
2020년도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세미나(CNI세미나2020-73) 2020. 11. 26
대산지역 산업악취 원인규명과 관리계획 수립 기초조사연구 2019. 03. 01
충남 서북부 기초지자체의 미세먼지대응 행정협의회 운영 방안 연구 2020. 11. 17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