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양군 생태현황지도 수정보완 제작용역
수탁

청양군 생태현황지도 수정보완 제작용역

기간
2019. 06. 20 ~ 2020. 12. 10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오용준,정옥식,백승희,장하라
키워드
청양군,생태현황지도,비오톱,도시생태,주제도,야생생물,공간환경계획,현장조사
다운로드

[최종] 2020_청양군 생태현황지도 수정보완 제작 연구용역_최종보고서(2020122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청양군 생태현황지도 수정보완 연구는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2에 따라 도시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에 활용 가능한 15000 축척의 상세 환경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생태자연도의 한계를 보완하여 실질적 지역 환경관리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연구는 비오톱 유형 분류 야생동물 및 식생 현장조사 주제도 작성 비오톱 가치 평가 주요 야생생물 서식지 선정 활용 방안 제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비오톱은 생물이 서식하거나 잠재적으로 서식 가능한 최소 공간단위로 도시생태계 특성을 반영해 유형화되었다
청양군 전역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을 3단계 체계대중소분류로 분류했으며 총 100개 지점에서 포유류 조류 어류 양서파충류 식생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지도 제작에 활용되었다
비오톱 가치평가는 구조적 자연성 환경적 지표를 기반으로 등급화되었고 종 다양성 생태 연결성 수질토양 상태 등 생태환경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었다 이를 통해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과 개발 가능 지역이 구분되었다
활용 방안으로는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개발행위 허가제도 등 각종 행정계획에 생태정보를 통합 활용하는 전략이 제시되었고 시민단체 협력 프로그램 주기적 모니터링 및 갱신 체계도 구축되었다
이번 연구는 청양군의 생태 보전과 지속 가능한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충청남도 전체 도시생태현황지도 통합 구축을 위한 모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를 가진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내용
Ⅱ 생태비오톱현황지도의 의미
1 생태현황지도 정의 및 개념
11 비오톱의 정의
12 비오톱의 개념
2 청양군 생태현황지도 구축 전략
21 기초자료 수집
22 주제도 작성
23 비오톱 가치평가
Ⅲ 청양군 생태현황지도 구축
1 기초자료 수집
11 토지피복지도
12 수치지형도 정사영상
13 지적도
14 임상도
15 생태자연도
2 주제도 구축
21 비오톱유형분류도
22 동식물상주제도
3 비오톱 가치평가
31 구조적 측면
32 자연성 측면
33 환경적 측면
34 최종등급
Ⅳ 생태현황지도 활용방안
1 국토ㆍ환경연동제의 기반
2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의 기반
21 도시기본계획에 활용
22 도시관리계획에 활용
23 개발행위허가제도에 활용
3 도시환경계획의 기반
31 도시생태축 구축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32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부록
1 현장조사 지점별 조류상 및 환경
2 전체 식물상 목록
3 식생군락별 층위 및 구조적 특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