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지역화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및 활성화 방안
현안

충남 지역화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기간
2020. 03. 01 ~ 2020. 04. 30
연구책임자
이민정
연구자
김양중
키워드
지역화폐,충남,지역경제,파급효과,활성화,문제점,조례,개선방안
다운로드

현안과제 2020 일반-2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지역화폐는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발행되며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역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이다 2020년 3월 기준 충남 지역화폐 발행액은 약 572억 원이며 천안 부여 서산 아산 순으로 발행 규모가 크다 지역 내 경제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액 약 1960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 약 939억 원으로 추산되며 전국적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액 5911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 2563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역화폐의 효과는 할인율에 의한 소비자 인센티브 제공과 지역 내 소비 유도로 인해 발생한다 하지만 이용 측면에서는 앱 설치 결제 방식 제한 가맹점 부족 등의 불편이 있으며 유통 측면에서는 수수료 부담 부정 유통 대리구매 등의 문제도 지적된다 판매 측면에서는 지자체 마케팅과의 연계 부족 제도적으로는 반복 사용 불가한 지류 중심 유통 방식 등 구조적인 한계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 기술 기반의 개선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대표적으로 공주페이 사례처럼 앱 기반의 다양한 결제 방식 도입 가맹점 마케팅 연계 공공 배달앱 기능 추가 등이 언급되었다 또한 지역 축제 로컬푸드 수당 지급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와 연계하여 지역화폐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국내외 사례로는 서울 노원구의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노원NW과 일본 타카마츠시의 메구링마일이 소개되었으며 이들은 봉사활동 기부 지역행사 참여 등 다양한 사회적 활동과 연계된 포인트 적립 시스템을 통해 지역주민의 참여와 애향심을 유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류 중심의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서 지역공동체 활동과 연계된 통합 플랫폼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충남의 지역화폐 정책은 단순 판매 촉진 중심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전략 즉 이용 편의성과 지역 연계성 제고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행정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민간 주도의 거버넌스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할인이나 캐시백 등 인센티브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선순환 경험 축적과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언하고 있다

목차

1 지역화폐 개요
2 충남 지역화폐 파급효과
3 지역화폐 문제점
4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5 요약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