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 지방소멸대응기금 관련 사업계획 연구 용역
수탁

공주시 지방소멸대응기금 관련 사업계획 연구 용역

기간
2022. 04. 13 ~ 2022. 12. 13
연구책임자
김용현
연구자
박춘섭,박경철,신혜지,한승석
키워드
공주시,지방소멸,대응기금,도시재생,청년주택,귀농귀촌,문화창작,일자리플랫폼
다운로드

2022년도2023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는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머물고 싶은 일상이 행복한 도시 공유 공주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농촌 활력 회복을 중심으로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을 수립함 원도심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청년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설계함
인구감소의 주된 원인은 대전세종 등 인근 대도시로의 청년층 유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주에서 미리 살아보기 청년 맞춤형 공공주택 조성 공주형 일자리 플랫폼 구축 등의 사업이 핵심 과제로 제시됨 특히 청년의 정착을 유도하고 주거일자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함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는 노후주택 정비와 빈집 활용을 중심으로 한 공주시민 안전주거 플랫폼 구축과 귀농귀촌인 주거교육 통합지원이 포함됨 도시재생 및 농촌 지역 활성화와 연계되어 주거안정과 생활 인프라 확충에 중점을 둠
문화와 창업 기반 강화를 위해 공주형 문화 창작공간 조성이 추진되며 메이커스페이스와 찾아가는 문화프로그램 운영으로 창의문화 기반과 지역경제 활력을 도모함 해당 사업은 문화도시 사업과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해 공간콘텐츠 융합 거점으로 활용됨
총 7개 주요 사업에 대한 투자계획은 20222023년 총 2528억 원 규모로 대부분 기금으로 충당되며 민간 및 지방비 투입은 최소화됨 사업별로는 체험형 주거미리 살아보기 청년공공주택 일자리 플랫폼 귀농기숙사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복합사업 구조임
종합적으로 본 계획은 인구 유입을 통한 생활인구 확대 정주환경 개선 청년층 정착 유도 지역 균형 발전 등을 목적으로 하며 도시재생문화도시청년정책귀농귀촌 등 다양한 부처 및 정책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추진될 예정임

목차

1 지역 여건분석 및 전망
2 기본방향 및 전략
3 기금사업
4 타 재정 정책 연계방안
5 운영 및 관리체계
6 기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