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공공디자인 분야에서는 충남도 및 시군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디자인 관련 자문과 가이드라인 개발을 지원하며 교육과 홍보도 병행하고 있다 공공건축 분야에서는 공공건축진흥조례를 근거로 사업계획 사전검토와 관련 DB 구축 자문에 응답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두 축은 모두 법적 조례를 기반으로 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명확히 규정돼 있다
센터는 공간디자인 건축 도시계획 조경 시각디자인 서비스디자인 등 다양한 전문분야의 자문위원 105명을 구성하여 사업 단계별로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사업 초기 구상 단계부터 설계 시공 전까지 단계별 자문이 가능하며 국도비 공모 대응 과업지시서 검토 디자인 시안 제시까지도 포함된다
컨설팅 프로세스는 신청 접수 후 자료 검토 자문 방향 설정 현장 자문 및 회의 보고서 작성 및 송부 결과 반영 확인의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설계비 규모나 사업 유형에 따라 컨설팅 또는 사전검토로 구분되며 자문 유형도 디자인 자문과 디자인 시안 제시 등으로 차별화된다
성과 면에서는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총 2063건의 공공디자인 컨설팅을 수행했으며 2017년부터는 교육청 협업을 통한 학교시설 컨설팅도 포함되었다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626건이 이루어졌고 그중 중소규모50억 미만 사업 비중이 70 이상이었다 사전검토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센터가 충남형 공공디자인 정책 실행의 허브로 기능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역 간 협업 구조 강화 성과 공유 체계 구축 데이터 기반 디자인 행정 고도화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공공디자인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목차
2 공공디자인의 평가지표 및 시스템 개발
3 도지사의 가이드라인 개발 지원
4 공공디자인 관련 컨설팅
5 공공디자인 관련 교육 및 홍보
6 공공건축 DB 구축 및 사전검토
7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연혁
8 조직 구성 및 인력 소개
9 컨설팅 운영 방식 및 절차
10 정책연구 활동 개요
11 공공디자인 컨설팅 활용 방안
12 사업단계별 컨설팅 지원 내용
13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성과
14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통계
15 연도별 사전검토 실적 및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정진주
충청남도디자인아카데미 2024. 03. 18
공공디자인 지원 2024. 01. 04
공공건축 지원 2024. 01. 04
디자인 전문저널 발간 2022. 01. 20
충청남도 야간경관 명소화 사업 추진 전략과 과제 2024. 03. 01
충청남도 공동주택 경관심의 운영 매뉴얼 개발 2022. 07. 01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