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사전검토 대상은 도 및 시군에서 발주하는 공공건축 사업 중 설계비 1억 원 이상이거나 설계공모가 필요한 사업이다 검토는 충남연구원 공공디자인센터와 자문위원이 협력해 웹기반 시스템으로 수행하며 신청기관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자료 보완 및 개선 방향을 논의한 후 의견서를 교부한다
2023년 한 해 동안 총 64건의 사업이 접수 및 완료되었으며 신축사업이 84를 차지하고 100200억 원 규모의 사업이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신청한 기관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산시로 각각 109를 차지했고 이어 아산시 논산시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건축물 유형은 근린생활시설이 다수를 이루었다
사업별로 보면 여성가족플라자 반다비체육센터 청년문화공간 도서민복지센터 워케이션센터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시설들이 포함되어 있다 일부 사업은 자료 보완 횟수가 최대 4회 보완 기간이 20일 이상 걸린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사전계획의 완성도와 행정절차 숙련도 차이에 따라 달랐다
본 제도는 단순한 형식적 절차를 넘어서 실질적인 설계 개선과 사용자 중심 공간 구성을 유도하며 사업별 특성에 따라 검토 방향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검토 과정은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공공건축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공공건축 사전검토 제도를 통해 건축물의 사전계획 단계부터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를 통해 공간복지 수준 향상과 예산의 효율적 집행 공공성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할 방침이다
목차
사전검토 개요
사업목적
대상사업
사전검토 수행 방식
수행현황
접수 현황
사전검토 현황
신청기관별 현황
세부 추진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강경연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3. 01. 05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1. 01. 01
2021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CNI세미나 2021-48) 2021. 12. 16
2022 상반기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 공무원 교육 2022. 06. 23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정진주
충청남도디자인아카데미 2024. 03. 18
공공디자인 지원 2024. 01. 04
공공건축 지원 2024. 01. 04
디자인 전문저널 발간 2022. 01. 20
충청남도 야간경관 명소화 사업 추진 전략과 과제 2024. 03. 01
충청남도 공동주택 경관심의 운영 매뉴얼 개발 2022. 07. 01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